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은 2015년 출범 이후 매년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203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탄소 할당량이 매년 줄어드는 상황에서 배출권을 시장에서 사와야 하는 기업들의 재무 변동성이 한층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탄소배출권 가격 롤러코스터…기업들 골머리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AU21(2021년 배출권) 가격은 지난 1일 기준 t당 2만8000원이었다. 올해 1월 초(3만5400원) 대비 반 년 만에 20.9% 급락했다. 지난해 6월 말에는 t당 1만6150원에 거래됐다. 불과 반 년 새 급등락을 반복한 것이다.

한국거래소는 2015년부터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할당량 대비 탄소 배출량이 많은 기업은 이 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할 수 있다. 탄소배출권 구매 비용은 시장 수요와 공급에 따라 시시각각 변한다. 제도 시행 첫날 t당 8640원으로 거래를 시작한 탄소배출권은 매년 급등락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에너지업계는 가격 변동성이 큰 원인으로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 규모가 아직 작은 데다 현물거래 위주라는 점을 꼽고 있다. 제도 시행 첫해인 2015년 하루평균 5700만원이던 거래 대금은 지난달 기준 29억원으로 약 50배로 늘었다. 하지만 미국과 유럽연합(EU) 시장에 비하면 턱없이 작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더욱이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에선 해외 시장과 달리 아직까지 선물 거래가 허용되지 않고 있다. 헤지를 통한 가격 변동성 완화와 수요자들의 리스크 부담을 줄이는 장치가 없다는 뜻이다. EU 탄소배출권(EU-ETS) 시장에서 배출권 가격은 t당 88.96유로(약 12만원)에 달하지만 국내 시장에 비해 가격 변동성이 작은 것은 이 때문이다.

기업들은 탄소배출권 가격 급등락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 가격이 내려가면 유리하지만 언제 다시 급등할지 몰라 구입 계획을 세우는 데 고충이 크다는 것이 공통된 반응이다. 더욱이 2030 탄소중립 목표를 앞두고 각 기업에 확정된 할당량이 대폭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배출권을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사와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