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지난 6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전후 증시가 급락할 때 글로벌 투자자의 상장지수펀드(ETF) 순매수 상위에 퀄리티 주식을 담는 현상이 관찰되기도 했다.
올해 투자자들의 거래가 활발해진 대표 퀄리티 ETF로 Invesco S&P500 Quality ETF(티커명: SPHQ)를 꼽을 수 있다. SPHQ는 S&P500지수 내 종목을 대상으로 다음의 세 가지 퀄리티 기준을 사용해 기준치가 높은 종목을 우선순위로 편입한다.
세 가지 퀄리티 기준은 첫째 이익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자기자본이익률(ROE), 둘째 실적 퀄리티의 시그널을 확인할 수 있는 순영업자산의 변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리스크와 실적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이다.
현재 보유 상위 종목은 비자, 화이자, 애플, 마스터카드, 마이크로소프트, JP모간, 뱅크오브아메리카 등이며 위의 기준에 따라 총 100개 종목을 편입한다.
다만 단일 업종의 비중은 40%로 제한되며 현재는 정보기술(IT) 35%, 필수소비재 14%, 금융 13%, 에너지 13% 등으로 업종 분포를 보이고 있다.
S&P500 Quality Index를 벤치마크로 삼는 패시브 운용 ETF다. 운용 보수도 0.15%로 합리적인 편이다. 퀄리티 주식을 담고 있는 ETF답게 매년 1~2% 수준의 배당수익률도 기대할 수 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배당수익률은 1.6%다. SPHQ가 단순 지수 ETF와 같은 SPY와의 차별점이 되는 부분이다.
물론 주식이기 때문에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피할 수는 없겠으나, 방어적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올해 글로벌 투자자의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한다.
임은혜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