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5일에도 문재인 정부 시절 임명된 장관급 정무직 인사들과 공공기관장 등을 향해 자진 사퇴를 거듭 압박했다.

직전 원내대표를 지낸 김기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새로 출범한 윤석열 정부와 정책 보조를 맞춰야 할 공공기관ㆍ공기업 경영진이 전 정권 사람들로 채워져 있어 국정운영의 동력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며 "어이없다는 비난이 쏟아지는데도 후안무치 행태를 보이고 있으니 볼썽사납기 짝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민주당 정권은 (임기말) 막무가내로 알박기 인사를 자행했고 윤 대통령의 공약이행에 차질을 빚는 등 결국 국민만 피해를 보고 있는 형국"이라며 "알박기 수장이 '버티기'에 들어가면 해당 기관이 정책적 역할을 못하는 '식물상태'로 전락하는 건 시간문제다.

벌써 새 정부 취임 두 달이 되어가는데, 아직도 왜 꾸물거리고 있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의 국정철학과 함께할 수 없는 전 정권의 정무직 인사들은 정치적 이유로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니만큼, 정무직답게 최소한의 정치적 도의는 지켜야 할 것"이라며 "'똥배짱'으로 버티다가 나중에 후회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與, 文정부 인사 거취 연일 공개압박…"사퇴거부는 대선불복"
박수영 의원도 페이스북 글에서 "문재인 정권에서 임명한 장관급 정무직 및 공공기관장들 상당수가 사직하지 않고 임기를 채우겠다고 버티고 있다.

국민권익이 아니라 민주당 권익을 옹호해온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 방송장악에 올인했던 한상혁방통위원장 등 장관급과, 소주성을 주도했던 홍장표 KDI(한국개발연구원) 원장 등 59명"이라며 "후안무치"라고 비판했다.

그는 "대통령이 임명하는 직위는 대통령과 국정철학을 같이하라는 입법취지가 담긴 자리"라며 "일부 장관급과 공공기관장들의 사퇴거부는 일종의 대선불복으로 볼 수 있다.

국민의 뜻으로 선출된 대통령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만드는 정치적 몽니"라고 말했다.

이어 "역대 어느 정권에서도 이렇게 광범위하게 불복한 적은 없었다"며 "공연히 월급만 챙겨가면서 새정부의 정책에 어깃장을 놓지 말고 빨리 사퇴하시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정치보복수사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정권교체기 임기제 공무원들을 겨냥한 퇴직 압박' 문제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서도 "문재인 정부 때 전 공직 사회를 대상으로 '자기 편 심기'에 몰두했던 적폐를 생각해보라"고 비판했다.

송언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최근 민주당이 윤석열 정부가 공공기관에 재직 중인 민주당 인사를 찍어내기 한다며 '정치보복수사대책위' 출범을 운운하고 있다"며 "2017년 문정부가 환경부 블랙리스트 작성 등 전 공직사회를 대상으로 자기편 심기에 몰두했던 적폐를 외면한 윤정부 흠집내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권과 민주당은 2017년 6월 19일 국정원 적폐청산을 내세워 정해구 위원장 주도로 국정원 개혁발전위를 출범시켰고, 국가 안보에 헌신한 직원을 적폐 세력으로 몰아 40여명을 사법처리했다"며 "당시 위원장이던 정해구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에 취임했다"고 예를 들었다.

그는 "당시 국정원 적폐청산 과정에 사법적으로 큰 문제가 있었다고 알고 있다.

이에 국정원 차원의 엄정한 진상조사를 촉구한다"며 "당 차원에서도 필요하면 관련자 고발 등을 통해 진실을 명백히 밝히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