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와 글로벌 공급망 차질 여파로 치솟던 원자재 가격이 최근 들어 일제히 급락하고 있다. 경기 선행지표 역할을 하는 원자재 가격이 급락하면서 하반기 경기 침체(recession) 공포가 엄습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치솟던 원자재값 급락…물가는 24년 만에 최악
5일 한국광물자원공사에 따르면 구리 현물 가격은 4일(현지시간)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t당 7976달러에 거래됐다. 구리 가격이 t당 8000달러를 밑돈 것은 작년 2월 이후 17개월 만이다. 지난 3월 초 대비 25.7% 급락했다. 송전, 건축·설비 등에 두루 쓰이는 구리는 경기선행지표 역할을 톡톡히 해 ‘닥터 쿠퍼’로 불린다. 구리와 함께 대표 비철금속인 아연과 알루미늄도 최근 석 달 새 각각 30.1%, 31.6% 급락했다. 철광석 가격도 지난 1일 t당 123달러로, 올 4월 초(154달러) 대비 20.1% 하락했다.

천연가스와 원유 가격도 떨어지고 있다. 올 들어 60% 넘게 급등한 천연가스 가격은 2분기 3.9% 하락했다. 배럴당 120달러를 넘었던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도 106달러 선에서 마감했다.

통상 원자재값이 내려가면 기업들은 당장은 비용 부담을 덜 수 있다. 문제는 원자재값 급락이 경기 침체의 신호탄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원자재 가격이 일제히 하락한 것은 수요자들이 경기 침체를 예상하고 생산을 대폭 줄였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경제계 한 관계자는 “건설과 자동차 등 전방 수요가 급격히 줄면 산업계 전반의 연쇄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6% 급등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과 비교해 6.0% 상승했다.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1월(6.8%) 후 23년7개월 만의 6%대 물가 상승률이다.

치솟던 원자재값 급락…물가는 24년 만에 최악
코로나19 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석유와 원자재, 곡물 가격 급등세가 이어진 결과다. 경기침체 속 물가가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 현실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22(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6.0% 상승했다. 5월(5.4%)보다 상승폭이 0.6%포인트 커졌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0~2%대를 유지하던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0월 3%대로 올라섰고 올 들어서는 1월 3.6%, 2월 3.7%, 3월 4.1%, 4월 4.8% 등 매월 상승률이 높아졌다.

소비자들이 민감하게 느끼는 품목을 중심으로 구성한 생활물가지수는 7.4% 상승했다. 1998년 11월(10.4%) 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도 4.4% 올랐다.

분야별로 보면 석유류 등 공업제품과 외식을 비롯한 개인서비스 가격 인상이 물가 상승을 이끌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세계가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가장 심각한 물가 충격을 받고 있다”며 “매주 비상경제민간회의를 주재해 민생 현안을 챙기겠다”고 밝혔다.

강경민/워싱턴=정인설 특파원/도병욱/좌동욱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