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창구 규제해제·성산구는 유지
"작년에 행정구역 변경됐는데 고려 안돼"
창원시청 "정부-지자체 꾸준히 협의한 결과"
성산구 주민 "창원 내 자산격차 더 심해질 것"
![경남 창원시 성산구 가음동에 있는 한 아파트 전경. / 사진=이송렬 한경닷컴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01.30555186.1.jpg)
8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2022년 제2차 주거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조정안'을 심의·의결했다. 경남 창원시 의창구도 국토부의 이번 결정에 따라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됐다.
2020년 12월18일 기준 창원시 의창구는 투기과열지구, 성산구는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됐다. 당시만 해도 용호·신월·대원동은 의창구였다. 그러다가 지난해 7월 창원시 행정구역조정으로 용호·신월·대원동은 성산구로 편입됐다. 창원시는 이들 동이 성산구로 편입됐지만, 규제지역 지정 당시 행정구역을 적용받아 투기과열지구 적용을 유지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의창구가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되면서 의창구 규제를 같이 적용받던 용호·신월·대원동이 비규제지역이 됐다. 이들 3개 동에는 재개발·재건축 단지가 많아 가격을 자극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곳이다.
![경남 창원시 성산구 신월동에 있는 한 재건축 아파트. / 사진=이송렬 한경닷컴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01.30555183.1.jpg)
성산구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은 큰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한 주민은 "성산구가 조정대상지역으로 남은 것은 불합리하다"며 "규제로 최근 몇 년간 인근 다른 지역 집값이 오르는 것만 지켜보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규제로 성산구와 창원 내 다른 지역 자산 격차는 더 커질 것"이라며 "성산구도 규제지역 해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창원시청 관계자는 "국토부에서도 여러 차례 현장에 나와 미분양 현황이나 지역 거래 현황 등을 살폈고, 시에서도 국토부에 관련 자료를 꾸준히 제공했다"며 "3개 동에 재건축 단지들이 있지만 현재 시장 상황을 봤을 때 가격 급등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의창구 역시 하반기 분양 등이 있긴 하지만 가격이 상승하긴 어렵다고 판단, 이런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산구를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창원 전체를 비규제지역으로 풀게 되면 아무래도 (가격 상승 등) 부담이 있다고 판단한 것 같다"며 "규제지역으로 남겨두고 지켜보려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01.27900673.1.jpg)
의창구 북면에 있는 B 공인 중개 관계자는 "북면 무동 등이 규제지역으로 묶여있다 보니 아파트 거래가 얼어붙었다"며 "의창구가 이번에 규제지역에서 해제된 것도 무동 내 미분양 때문"이라고 했다.
한편 의창구는 투기과열지구에서 비규제지역이 되면서 담보인정비율(LTV) 등 대출 규제나 분양권 전매 제한 같은 각종 규제가 풀렸지만, 시장 자체는 조용하다. 특히 이번에 해제된 지역 가운데 신월동 등에는 재건축 아파트가 밀집해 있지만 물건을 팔려는 집주인만 있을 뿐 사려는 매수자는 없는 상황이다.
신월동에 있는 C 공인 중개 관계자는 "최근 신월 주공에서 매물이 꽤 많이 쏟아지고 있다"며 "지역에서 계속 거주할 실수요자들보다는 투자자들 매물이 대부분이다. 분담금 낼 여력이 없다 보니 매물로 내놓는 중"이라고 했다.
집값도 하향 안정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의창구 집값은 지난달 첫째 주(6일) 하락세로 전환해 5주 연속 하락했다. 넷째 주(27일)엔 낙폭이 0.07%로 더 커졌다. 성산구 집값도 마찬가지로 5주 내내 떨어지고 있다.
창원(경남)=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