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 쇼크에 사우디 '노딜'까지…'지뢰밭' 인플레 위크 [정인설의 워싱턴나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바이든, 사우디 첫 방문서 '빅딜'이냐 '노딜'이냐 / 美증시 주간전망
지리한 밀당입니다.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의 엎치락 뒷치락 기싸움이 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힘이 세지면 금리인상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습니다. 그러다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 금리 완급조절 주장이 봇물 터지듯 나옵니다.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는 우산 장수와 부채 장수의 관계와 비슷합니다. 뜨거운 태양이 뜰 때는 우산 장수의 마음으로 인플레이션을 걱정해야 하고 비오는 날엔 부채 장수 심정으로 침체를 염려하게 됩니다. CPI(소비자물가지수)나 PCE(개인소비지출) 같은 인플레 지표가 나올 때 인플레 우려가 증시를 뒤덮고 그 약발이 약해질 때 경기침체론이 득세합니다. 지난달 10일 5월 CPI가 8.6% 증가로 나왔을 때 딱 그랬습니다.
지난달 말까지만 해도 인플레 얘기로 도배되더니 이달 초부터 경기침체론으로 대세가 확 뒤바뀌었습니다. 그러다 미 중앙은행(Fed)이 "탄탄하다"고 믿는 고용 지표에 따라 인플레와 침체의 관계는 리셋되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6월 신규 일자리 수가 예상을 뛰어넘고 실업률이 완전고용 수준을 유지하자 침체 우려가 잦아들고 인플레의 힘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오는 2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최소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경기침체 힘이 누그러진 이번 주는 그야말로 역대급 '인플레 위크'입니다. 6월 CPI 수치에 따라 또다시 'CPI 쇼크'가 터질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의 담판이 '노 딜'로 끝난다면 최악의 유가 폭등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G20 재무장관회의에서 중국과 인도의 보이콧 때문에 러시아 고립 작전에 실패한다면 상황은 최악으로 치닫습니다.
모든 게 살인적 인플레이션으로 귀결됩니다. 한국과 뉴질랜드, 캐나다 등 금리인상의 '퍼스트 무버' 국가들도 통화정책회의를 열어 인플레에 대응해 금리를 확 올릴 가능성이 큽니다.
그 와중에 경기침체를 가늠할 지표도 나옵니다. 미국에선 기업들이 실적 전망을 내놓고 중국은 2분기 성장률을 발표합니다. 미국 기업들이 인플레 때문에 실적이 악화할 것이라고 고해성사를 하고 중국이 전무후무한 경제봉쇄 타격이 컸다고 인정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글로벌 증시는 경기침체와 인플레를 동시에 겪는 '스태그플레이션' 걱정을 제대로 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물가 정점론을 뚫고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3월이 8.5%로 단기 꼭지일 것 같았지만 5월에 8.6%로 전고점을 경신했습니다. 그리고 이번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는 8.8%로 또다시 고점을 깰 태세입니다. 블룸버그통신은 9%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당연히 전쟁 영향이 큽니다. 구리나 목재 같은 일부 원자재와 밀을 비롯한 곡물 가격이 지난달 중순부터 떨어지고 있지만 국제 유가는 100달러를 오르락 내리락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과 달리 유럽 내 천연가스 가격은 여전히 고공행진 중입니다. 6월 CPI가 5월 수준보다 다소 오른다면 이달 FOMC에서 75bp(1bp=0.01%포인트) 인상으로 끝날 수 있습니다. 이미 Fed 내 매파(통화긴축 선호) 성향의 인사 3명은 자이언트 스텝을 지지하며 기정사실화하고 있습니다.
상승폭이 커서 9%에 도달한다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당장 이달에 자이언트 스텝을 넘어 100bp를 인상하는 '그레이트 스텝'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9월 FOMC까지 3연속 자이언트 스텝 얘기나 나올 수 있습니다. 노동시장이 탄탄한 게 이런 시나리오를 뒷받침하는 핵심 근거입니다. Fed와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 시장에서 7월 FOMC에서 100bp 금리를 올릴 확률은 7.6%로 올랐습니다. 1주일 전만 해도 0%였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시장은 인플레이션이 고정되지 않을 가능성을 더 높게 평가하기 시작했다"며 100bp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습니다.
14일 야이르 라피드 이스라엘 임시 총리를 만나고 서안지구에서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과 회동할 예정입니다. 여기까진 중동 평화 일정입니다. 미국 중재로 이스라엘과 중동을 이어준 '아브라함 협정'이 사우디 등으로 확대될 지 관심사입니다. 이스라엘은 2020년 미국의 중재로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모로코 수단 등 4개국과 아브라함 협정을 맺고 관계를 정상화했습니다. 뉴욕증시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일정은 그 다음부터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15일 사우디의 항구도시 제다로 이동해 걸프협력회의(GCC)에 참석합니다. 최대 관심사는 사우디의 실권자인 빈 살만 왕세자와의 회동 여부입니다.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바이든과 빈 살만의 담판이 순조롭게 끝나는 것입니다. 이른바 '빅딜론' 입니다. 두 사람이 적정선에서 화해를 하고 빈 살만은 '까슈끄지 리스크'에서 벗어나고 바이든은 원유 증산 선물을 가져가면 금상첨화죠.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 등 OPEC 회원국들이 다음달 3일 OPEC+ 회의에서 증산에 동참한다고 선언하면 국제유가는 하락안정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 최악의 시나리오는 '노딜'입니다. 예를 들어 바이든이 빈살만을 만나지 않고 그의 부친인 살만 빈 압둘아지즈 국왕만 보는 것입니다. 실제 바이든은 지난해 취임후 압둘아지즈 국왕과만 통화했습니다. 설사 바이든이 빈살만을 만난다 하더라도 빈손 회담으로 끝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바이든은 인플레 대책으로 또 이르면 이번 주에 중국 상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완화하는 방안을 발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미국은 러시아가 불참하는 이 자리에서 러시아 고립작전을 실행합니다.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중단할 수 없으니 러시아 원유가격 상한제를 실시하자고 독려할 계획입니다. 가령 러시아산 원유 가격을 이익을 보지 못하는 수준인 배럴당 45~65달러에 맞추자는 얘기입니다. 러시아가 유가 급등 시기에 반사이익을 보는 것을 피하기 위한 조치이지만 얼마나 많은 나라들이 참여할 지가 관건입니다.
이미 G7 국가들과 한국 등 우방국은 동참하기로 했지만 러시아산 원유 의존도가 높은 중국과 인도가 어떻게 나올 지 미지수입니다. 러시아 원유에 미련을 버리기 힘든 유럽 국가들의 마음도 제각각입니다.
원유가격 상한제가 실시되면 러시아가 원유 공급을 줄여 오히려 국제 유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이 국가들이 이번주에 나란히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미 올해에 전 세계에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나라들이 40개국이 넘습니다.
다음 순서는 캐나다일 것으로 블룸버그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캐나다는 13일에 통화정책회의를 열어 1.5%인 기준금리를 2.25%로 올릴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과 뉴질랜드도 13일에 기준금리 여부를 결정합니다. 미국 동부시간 기준으론 12일입니다. 여기서 50bp 인상할 가능성이 큽니다. 인플레 정국 속에 경기침체 리스크도 재현될 전망입니다.
우선 미국 기업들이 향후 실적 전망을 줄줄이 내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주부터 은행을 시작으로 2분기 실적 시즌에 들어가는데 여기서 올해와 내년 실적 예상치를 하향조정하는 기업들이 증가할 전망입니다. 아직 미국 기업들은 전쟁과 인플레이션 영향을 본격적으로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주 후반엔 중국도 주목해야 합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5일 국민경제운영상황 브리핑을 통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발표합니다. 1분기엔 4.8% 성장했는데 2분기엔 1%대로 뚝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4월 이후 계속된 경제봉쇄 영향입니다. 올해 중국은 4% 성장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올초 중국 정부는 올해 성장률 목표치를 5.5% 안팎으로 제시했습니다.
전체적으로 곳곳이 지뢰밭입니다. 그러나 지뢰에 걸리지 않으면 꽃밭이 기다리고 있을 지 모릅니다.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를 동시에 겪는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지뢰밭을 무사히 통과하면 언젠가는 물가 안정 속에 성장하는 '골디락스' 시대가 올 것이라는 희망을 품게될 수 있습니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는 우산 장수와 부채 장수의 관계와 비슷합니다. 뜨거운 태양이 뜰 때는 우산 장수의 마음으로 인플레이션을 걱정해야 하고 비오는 날엔 부채 장수 심정으로 침체를 염려하게 됩니다. CPI(소비자물가지수)나 PCE(개인소비지출) 같은 인플레 지표가 나올 때 인플레 우려가 증시를 뒤덮고 그 약발이 약해질 때 경기침체론이 득세합니다. 지난달 10일 5월 CPI가 8.6% 증가로 나왔을 때 딱 그랬습니다.
지난달 말까지만 해도 인플레 얘기로 도배되더니 이달 초부터 경기침체론으로 대세가 확 뒤바뀌었습니다. 그러다 미 중앙은행(Fed)이 "탄탄하다"고 믿는 고용 지표에 따라 인플레와 침체의 관계는 리셋되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6월 신규 일자리 수가 예상을 뛰어넘고 실업률이 완전고용 수준을 유지하자 침체 우려가 잦아들고 인플레의 힘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오는 2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최소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경기침체 힘이 누그러진 이번 주는 그야말로 역대급 '인플레 위크'입니다. 6월 CPI 수치에 따라 또다시 'CPI 쇼크'가 터질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의 담판이 '노 딜'로 끝난다면 최악의 유가 폭등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G20 재무장관회의에서 중국과 인도의 보이콧 때문에 러시아 고립 작전에 실패한다면 상황은 최악으로 치닫습니다.
모든 게 살인적 인플레이션으로 귀결됩니다. 한국과 뉴질랜드, 캐나다 등 금리인상의 '퍼스트 무버' 국가들도 통화정책회의를 열어 인플레에 대응해 금리를 확 올릴 가능성이 큽니다.
그 와중에 경기침체를 가늠할 지표도 나옵니다. 미국에선 기업들이 실적 전망을 내놓고 중국은 2분기 성장률을 발표합니다. 미국 기업들이 인플레 때문에 실적이 악화할 것이라고 고해성사를 하고 중국이 전무후무한 경제봉쇄 타격이 컸다고 인정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글로벌 증시는 경기침체와 인플레를 동시에 겪는 '스태그플레이션' 걱정을 제대로 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공포의 9%대 인플레 진입하나
고삐 풀린 CPI의 끝은 어디일까요.물가 정점론을 뚫고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3월이 8.5%로 단기 꼭지일 것 같았지만 5월에 8.6%로 전고점을 경신했습니다. 그리고 이번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는 8.8%로 또다시 고점을 깰 태세입니다. 블룸버그통신은 9%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당연히 전쟁 영향이 큽니다. 구리나 목재 같은 일부 원자재와 밀을 비롯한 곡물 가격이 지난달 중순부터 떨어지고 있지만 국제 유가는 100달러를 오르락 내리락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과 달리 유럽 내 천연가스 가격은 여전히 고공행진 중입니다. 6월 CPI가 5월 수준보다 다소 오른다면 이달 FOMC에서 75bp(1bp=0.01%포인트) 인상으로 끝날 수 있습니다. 이미 Fed 내 매파(통화긴축 선호) 성향의 인사 3명은 자이언트 스텝을 지지하며 기정사실화하고 있습니다.
상승폭이 커서 9%에 도달한다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당장 이달에 자이언트 스텝을 넘어 100bp를 인상하는 '그레이트 스텝'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9월 FOMC까지 3연속 자이언트 스텝 얘기나 나올 수 있습니다. 노동시장이 탄탄한 게 이런 시나리오를 뒷받침하는 핵심 근거입니다. Fed와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 시장에서 7월 FOMC에서 100bp 금리를 올릴 확률은 7.6%로 올랐습니다. 1주일 전만 해도 0%였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시장은 인플레이션이 고정되지 않을 가능성을 더 높게 평가하기 시작했다"며 100bp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습니다.
바이든 첫 중동 순방...최악의 시나리오는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중동 순방에 나섭니다. 공교롭게 CPI가 발표되는 13일에 미국을 출발합니다.14일 야이르 라피드 이스라엘 임시 총리를 만나고 서안지구에서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과 회동할 예정입니다. 여기까진 중동 평화 일정입니다. 미국 중재로 이스라엘과 중동을 이어준 '아브라함 협정'이 사우디 등으로 확대될 지 관심사입니다. 이스라엘은 2020년 미국의 중재로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모로코 수단 등 4개국과 아브라함 협정을 맺고 관계를 정상화했습니다. 뉴욕증시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일정은 그 다음부터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15일 사우디의 항구도시 제다로 이동해 걸프협력회의(GCC)에 참석합니다. 최대 관심사는 사우디의 실권자인 빈 살만 왕세자와의 회동 여부입니다.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바이든과 빈 살만의 담판이 순조롭게 끝나는 것입니다. 이른바 '빅딜론' 입니다. 두 사람이 적정선에서 화해를 하고 빈 살만은 '까슈끄지 리스크'에서 벗어나고 바이든은 원유 증산 선물을 가져가면 금상첨화죠.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 등 OPEC 회원국들이 다음달 3일 OPEC+ 회의에서 증산에 동참한다고 선언하면 국제유가는 하락안정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 최악의 시나리오는 '노딜'입니다. 예를 들어 바이든이 빈살만을 만나지 않고 그의 부친인 살만 빈 압둘아지즈 국왕만 보는 것입니다. 실제 바이든은 지난해 취임후 압둘아지즈 국왕과만 통화했습니다. 설사 바이든이 빈살만을 만난다 하더라도 빈손 회담으로 끝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바이든은 인플레 대책으로 또 이르면 이번 주에 중국 상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완화하는 방안을 발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옐런은 중국과 인도의 벽을 넘어설까
옐런은 아시아에서 승전보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바이든과 빈살만의 회동이 예정된 15~16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입니다.미국은 러시아가 불참하는 이 자리에서 러시아 고립작전을 실행합니다.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중단할 수 없으니 러시아 원유가격 상한제를 실시하자고 독려할 계획입니다. 가령 러시아산 원유 가격을 이익을 보지 못하는 수준인 배럴당 45~65달러에 맞추자는 얘기입니다. 러시아가 유가 급등 시기에 반사이익을 보는 것을 피하기 위한 조치이지만 얼마나 많은 나라들이 참여할 지가 관건입니다.
이미 G7 국가들과 한국 등 우방국은 동참하기로 했지만 러시아산 원유 의존도가 높은 중국과 인도가 어떻게 나올 지 미지수입니다. 러시아 원유에 미련을 버리기 힘든 유럽 국가들의 마음도 제각각입니다.
원유가격 상한제가 실시되면 러시아가 원유 공급을 줄여 오히려 국제 유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자이언트 스텝' 전 세계로 번지나
지난달 미국이 75bp를 올리기 전 미국보다 더 빨리 더 많이 올리는 금리인상 1군 국가들이 있었습니다. 한국을 비롯해 캐나다, 뉴질랜드 등이었습니다.이 국가들이 이번주에 나란히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미 올해에 전 세계에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나라들이 40개국이 넘습니다.
다음 순서는 캐나다일 것으로 블룸버그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캐나다는 13일에 통화정책회의를 열어 1.5%인 기준금리를 2.25%로 올릴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과 뉴질랜드도 13일에 기준금리 여부를 결정합니다. 미국 동부시간 기준으론 12일입니다. 여기서 50bp 인상할 가능성이 큽니다. 인플레 정국 속에 경기침체 리스크도 재현될 전망입니다.
우선 미국 기업들이 향후 실적 전망을 줄줄이 내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주부터 은행을 시작으로 2분기 실적 시즌에 들어가는데 여기서 올해와 내년 실적 예상치를 하향조정하는 기업들이 증가할 전망입니다. 아직 미국 기업들은 전쟁과 인플레이션 영향을 본격적으로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주 후반엔 중국도 주목해야 합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5일 국민경제운영상황 브리핑을 통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발표합니다. 1분기엔 4.8% 성장했는데 2분기엔 1%대로 뚝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4월 이후 계속된 경제봉쇄 영향입니다. 올해 중국은 4% 성장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올초 중국 정부는 올해 성장률 목표치를 5.5% 안팎으로 제시했습니다.
전체적으로 곳곳이 지뢰밭입니다. 그러나 지뢰에 걸리지 않으면 꽃밭이 기다리고 있을 지 모릅니다.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를 동시에 겪는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지뢰밭을 무사히 통과하면 언젠가는 물가 안정 속에 성장하는 '골디락스' 시대가 올 것이라는 희망을 품게될 수 있습니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