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일 후 '쉬는날' 지정, 금요일엔 원격근무…NHN도 확 바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집중근무 폐지·오프데이 신설
직원들 근무 자율성 부여
직원들 근무 자율성 부여
네이버와 카카오를 필두로 정보기술(IT) 업계가 자유로운 형태의 근무체제를 운영하는 가운데 NHN도 임직원의 근무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 집중근무시간을 폐지하고 오프데이를 신설하는 등 새로운 근무체제를 다음달 1일부터 시행한다고 12일 밝혔다.
NHN은 기존에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운영하던 집중근무시간(코어타임)을 폐지한다. 구성원 간 협업 시스템의 고도화가 이뤄진 상황에서 근무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휴식을 스스로 설계할 수 있는 '오프데이' 제도도 신설된다. 월 근로시간 내에서 업무가 많거나 집중이 잘 될 때 몰입해 일하고, 업무 스케줄이 여유롭거나 컨디션이 안 좋을 때는 오프데이를 지정해 쉬는 시스템이다. 가령 한 주에 10시간씩 4일 근무로 계획하면 하루 쉴 수 있도록 했다.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퍼플타임 제도'는 새로운 근무체제에서 더욱 확대돼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에 최소 근무시간 제한 없이 자유롭게 업무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기존에는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에서 조율 가능했었다.
아울러 NHN은 매주 금요일엔 직원들이 원하는 곳 어디에서나 일할 수 있는 원격근무 '마이오피스' 제도도 병행한다.
이번 근무체제 개편은 간편결제 서비스 '페이코'를 운영하는 계열사 NHN 페이코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정우진 NHN 대표는 "구성원의 자율과 책임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더 나은 근무제도를 위해 임직원들과 함께 고민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NHN은 기존에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운영하던 집중근무시간(코어타임)을 폐지한다. 구성원 간 협업 시스템의 고도화가 이뤄진 상황에서 근무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휴식을 스스로 설계할 수 있는 '오프데이' 제도도 신설된다. 월 근로시간 내에서 업무가 많거나 집중이 잘 될 때 몰입해 일하고, 업무 스케줄이 여유롭거나 컨디션이 안 좋을 때는 오프데이를 지정해 쉬는 시스템이다. 가령 한 주에 10시간씩 4일 근무로 계획하면 하루 쉴 수 있도록 했다.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퍼플타임 제도'는 새로운 근무체제에서 더욱 확대돼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에 최소 근무시간 제한 없이 자유롭게 업무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기존에는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에서 조율 가능했었다.
아울러 NHN은 매주 금요일엔 직원들이 원하는 곳 어디에서나 일할 수 있는 원격근무 '마이오피스' 제도도 병행한다.
이번 근무체제 개편은 간편결제 서비스 '페이코'를 운영하는 계열사 NHN 페이코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정우진 NHN 대표는 "구성원의 자율과 책임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더 나은 근무제도를 위해 임직원들과 함께 고민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