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영변 핵시설 핵폐기물 처리장서 '굴착 활동' 포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한의 영변 핵시설 부속 건물 주변에서 굴착 활동이 포착됐다.
11일(현지시간)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산하 북한 전문 사이트 '분단을 넘어(Beyond Parallel)'는 지난 3일 촬영된 위성사진에 영변 핵시설의 폐기물 처리·저장시설인 일명 '500호 건물' 정면으로 땅이 파헤쳐진 모습이 담겼다고 보도했다.
'500호 건물'은 1993년 그 용도가 처음으로 공개 확인된 이후 꾸준히 관찰됐다.
'분단을 넘어'는 500호 건물 주변 활동을 분석해 방사 화학연구소의 플루토늄 생산 여부나 주변 환경오염 발생 여부를 파악해왔다고 전했다.
500호 건물 주변에서 땅이 파헤쳐진 장면이 포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2016~2017년에도 건물 주변에 참호가 형성됐다가 메워지는 과정이 민간 위성 카메라에 잡힌 바 있다.
'분단을 넘어'는 이번에 포착된 북한의 굴착 활동에 대해 건물에서 방사성 물질이 누출돼 수습에 나섰거나, 방사화학연구소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을 운반·저장하기 위해 건물 구조를 일부 변경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또 단순히 건축물을 보수하려는 목적이거나, 일부러 외부의 시선을 끌려는 속임수일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한편, 평안북도 영변군에 있는 영변 핵시설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 중심지로, 북한의 대량파괴무기(WMD) 개발을 경계하는 국제사회의 이목이 쏠리는 곳이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11일(현지시간)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산하 북한 전문 사이트 '분단을 넘어(Beyond Parallel)'는 지난 3일 촬영된 위성사진에 영변 핵시설의 폐기물 처리·저장시설인 일명 '500호 건물' 정면으로 땅이 파헤쳐진 모습이 담겼다고 보도했다.
'500호 건물'은 1993년 그 용도가 처음으로 공개 확인된 이후 꾸준히 관찰됐다.
'분단을 넘어'는 500호 건물 주변 활동을 분석해 방사 화학연구소의 플루토늄 생산 여부나 주변 환경오염 발생 여부를 파악해왔다고 전했다.
500호 건물 주변에서 땅이 파헤쳐진 장면이 포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2016~2017년에도 건물 주변에 참호가 형성됐다가 메워지는 과정이 민간 위성 카메라에 잡힌 바 있다.
'분단을 넘어'는 이번에 포착된 북한의 굴착 활동에 대해 건물에서 방사성 물질이 누출돼 수습에 나섰거나, 방사화학연구소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을 운반·저장하기 위해 건물 구조를 일부 변경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또 단순히 건축물을 보수하려는 목적이거나, 일부러 외부의 시선을 끌려는 속임수일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한편, 평안북도 영변군에 있는 영변 핵시설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 중심지로, 북한의 대량파괴무기(WMD) 개발을 경계하는 국제사회의 이목이 쏠리는 곳이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