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많은 중간요금제 압박…핵심은 경쟁 촉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장에서
경쟁 치열 美, 5G 요금제 다양
韓은 '5-3-2' 점유율 구도 안주
인위적 개입 말고 새 판 고민을
황정수 산업부 기자
경쟁 치열 美, 5G 요금제 다양
韓은 '5-3-2' 점유율 구도 안주
인위적 개입 말고 새 판 고민을
황정수 산업부 기자
미국 1위 통신사 AT&T의 5세대(5G) 이동통신 요금제는 15종이다. 데이터 무제한은 기본, 고객은 부가 서비스와 가격만 고려하면 된다. 미국 2·3위 업체인 T모바일과 버라이즌도 다르지 않다. 5G 요금제가 많아 뭘 선택해야 할지 오래 고민해야 할 정도다.
한국은 어떨까. 국내 통신사의 5G 요금제는 5종 안팎(데이터 무제한 기준)이다. 지나치게 비싼 무제한 상품과 데이터가 턱없이 모자란 상품만 있어 정부가 통신사에 5G 요금제 추가 출시를 압박하고 있다. 첫 번째 결과물은 SK텔레콤이 제안한 월 5만9000원 요금제(24GB 제공)였다. 이 상품에 대한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시선은 차갑다.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만큼의 ‘가성비’를 갖추지 못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압박해 상품을 다양화하는 상황 자체가 난센스라고 입을 모은다. 전파의 공공성을 무시할 수 없지만, 통신사는 엄연한 사기업이다. 기업은 매년 수조원을 투자하고 경영진은 결과에 책임을 진다. 외국인을 포함한 주주들은 눈을 부릅뜨고 지켜보고 있다. 이런 민간 기업에 정부와 정치권이 밑지는 장사를 요구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란 지적이다.
서비스 가격은 참여자의 경쟁 속에 도출되는 결과물이다. 정부가 통신 요금을 낮추고 싶다면 시장 플레이어 간 경쟁을 촉진해야 한다. 하지만 정부는 통신 3사의 ‘5-3-2’ 점유율 구도에 안주하고 있는 것 같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포함한 정부의 업무계획에 ‘통신 경쟁 촉진’이란 문구는 사라진 지 오래다. 빈자리는 ‘통신비 경감’ 같은 포퓰리즘적 용어가 채우고 있다.
이런 분위기 영향인지 통신사들도 과거처럼 치열하게 경쟁하지 않는다. 어느 순간부터 경쟁사를 저격하고 자사 서비스의 우위를 강조하는 통신사 광고를 찾기 어려운 건 우연이 아니다. 국내 통신사들의 ‘야성’이 사라졌다는 이야기가 그냥 나온 게 아니다.
미국의 경쟁 상황은 한국과 다르다. AT&T, T모바일, 버라이즌은 0.1%포인트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통신사 광고를 보면 어렵지 않게 확인된다. AT&T는 미국 지도에 자사와 T모바일의 5G 커버리지를 비교하며 대놓고 경쟁사를 저격한다. T모바일은 “AT&T와 버라이즌이 고객 요금을 인상하지만 우리는 다르다”며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다.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 혜택은 소비자에게 간다. ‘30달러’부터 시작하는 미국의 저렴한 무제한 5G 요금제는 통신사 간 치열한 경쟁의 산물이다. 시장 경제를 앞세운 윤석열 정부의 관료들이 고민해야 할 건 기업 팔 비틀기가 아니라 경쟁 촉진이다. 그 시작은 ‘중간 요금제’란 희한한 번지수로 향하고 있는 통신정책을 바로잡는 것이다.
한국은 어떨까. 국내 통신사의 5G 요금제는 5종 안팎(데이터 무제한 기준)이다. 지나치게 비싼 무제한 상품과 데이터가 턱없이 모자란 상품만 있어 정부가 통신사에 5G 요금제 추가 출시를 압박하고 있다. 첫 번째 결과물은 SK텔레콤이 제안한 월 5만9000원 요금제(24GB 제공)였다. 이 상품에 대한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시선은 차갑다.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만큼의 ‘가성비’를 갖추지 못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압박해 상품을 다양화하는 상황 자체가 난센스라고 입을 모은다. 전파의 공공성을 무시할 수 없지만, 통신사는 엄연한 사기업이다. 기업은 매년 수조원을 투자하고 경영진은 결과에 책임을 진다. 외국인을 포함한 주주들은 눈을 부릅뜨고 지켜보고 있다. 이런 민간 기업에 정부와 정치권이 밑지는 장사를 요구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란 지적이다.
서비스 가격은 참여자의 경쟁 속에 도출되는 결과물이다. 정부가 통신 요금을 낮추고 싶다면 시장 플레이어 간 경쟁을 촉진해야 한다. 하지만 정부는 통신 3사의 ‘5-3-2’ 점유율 구도에 안주하고 있는 것 같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포함한 정부의 업무계획에 ‘통신 경쟁 촉진’이란 문구는 사라진 지 오래다. 빈자리는 ‘통신비 경감’ 같은 포퓰리즘적 용어가 채우고 있다.
이런 분위기 영향인지 통신사들도 과거처럼 치열하게 경쟁하지 않는다. 어느 순간부터 경쟁사를 저격하고 자사 서비스의 우위를 강조하는 통신사 광고를 찾기 어려운 건 우연이 아니다. 국내 통신사들의 ‘야성’이 사라졌다는 이야기가 그냥 나온 게 아니다.
미국의 경쟁 상황은 한국과 다르다. AT&T, T모바일, 버라이즌은 0.1%포인트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통신사 광고를 보면 어렵지 않게 확인된다. AT&T는 미국 지도에 자사와 T모바일의 5G 커버리지를 비교하며 대놓고 경쟁사를 저격한다. T모바일은 “AT&T와 버라이즌이 고객 요금을 인상하지만 우리는 다르다”며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다.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 혜택은 소비자에게 간다. ‘30달러’부터 시작하는 미국의 저렴한 무제한 5G 요금제는 통신사 간 치열한 경쟁의 산물이다. 시장 경제를 앞세운 윤석열 정부의 관료들이 고민해야 할 건 기업 팔 비틀기가 아니라 경쟁 촉진이다. 그 시작은 ‘중간 요금제’란 희한한 번지수로 향하고 있는 통신정책을 바로잡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