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외식 업종은 키오스크, 로봇 등의 도입을 통한 무인화가 서비스 업종에서도 가장 빠른 축에 속한다. 고용 유발 효과가 매우 크다는 공통점도 있다. 기업으로선 키오스크와 로봇 도입 등을 통해 인건비를 줄여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지만, 역동성을 잃어가고 있는 국가 경제 전반에서는 이 분야 고용 위축이 추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작지 않다.

15일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영화, 외식산업 등이 포함된 서비스업종 고용유발계수는 9.20으로, 전 산업군의 고용유발계수(6.87)를 크게 웃돌았다. 제조업(4.72)과 비교하면 두 배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고용유발계수란 10억원어치의 재화를 생산할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고용자 수를 의미한다. 2010년 16.98이었던 서비스 업종의 고용유발계수는 2017년 9.86으로 한 자릿수에 진입한 뒤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제조업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국가적으로 큰 역할을 담당한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본격화한 무인화 추세가 서비스 업종의 고용 유발 둔화 추세를 더 가속화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주요 기업이 무인화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어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국면에 접어든 지금도 과거와 같은 수준의 인력 구조를 가져갈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e커머스 등 임금을 많이 주는 첨단산업으로 빠져나간 인력들도 돌아오지 않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장기업 중 미디어(-17.0%), 호텔 및 레저(-12.0%) 업종 등은 2022년 1분기 말 기준 직원 수가 2019년 1분기 말보다 크게 감소했다. 온라인 쇼핑(66.2%), 게임 소프트웨어(51.7%) 업종의 인력 증가세와는 대조적이다.

우려가 현실화할 징후들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한 대기업 외식 계열사 대표는 “매장 직원들이 육체적 고통을 호소하는 업무에 로봇을 우선 투입해 업무를 처리하도록 하면 담당 직원을 다른 업무에 배치해 매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현장 계약직 등의 신규 충원 필요성이 낮아졌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산업 전반에 불고 있는 무인화 바람에 대처하려면 창업을 막는 낡은 규제를 혁파하고 경직된 노동시장을 개선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가 공장 시대의 노동법과 창업 족쇄 등 현실에 맞지 않는 규제를 개혁해 노동시장 생태계가 발전할 수 있는 ‘혁신경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