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 튀기고, 커피 내리고, 국수 말고…골목상권에 '서비스 로봇'이 들어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음식점·영화관·숙박업소 등
코로나로 매장 직원 떠나자
서빙·조리 로봇 잇달아 도입
코로나로 매장 직원 떠나자
서빙·조리 로봇 잇달아 도입
CJ푸드빌 빕스 매장에서 우동을 만다. 편의점 GS25에선 치킨을 튀긴다. 사람이 아니라 로봇 얘기다. CJ, GS 같은 대기업 외식 매장에서만 볼 수 있는 모습도 아니다. 동네 카페, 짬뽕가게 등 골목 여기저기서 심심치 않게 마주친다. 로봇이 코로나19 창궐 후 떠난 매장 직원들의 빈 곳을 채우고 있는 일상의 단면이다.
외식 영화 숙박 등 서비스업종에 로봇이 잇달아 도입되고 있다. 국내 로봇 시장은 자동차 등 제조업 중심에서 인력난에 시달리는 서비스업종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추세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 제조업체 베어로보틱스는 내수용 로봇 주문이 지난해 1000대에서 올해 상반기에만 3000대 수준으로 급증했다.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은 서빙 로봇 렌털 공급 물량이 지난해 8월 400여 대에서 최근 630대로 약 1년 만에 57.5% 늘었다.
이런 로봇은 롯데백화점 푸드코트, 빕스, SPC 파리크라상 등 대형 유통·프랜차이즈 매장뿐 아니라 자영업자가 운영하는 골목상권에도 진입하고 있다. 치킨 커피 우동 등을 만드는 로봇 등 조리 로봇 시장도 커지고 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로봇 시장은 5조5000억원 규모다. 이 중 제조업용 로봇이 2조8000억원으로 비중이 가장 크지만 매년 시장 규모는 줄어드는 추세다.
반면 전문 서비스용 로봇(안내, 청소, 서빙 등) 시장은 4600억원 규모로 최근 2년간 40% 넘게 성장했다. 서빙 로봇을 도입한 닥터로빈의 최지희 부장은 “코로나19 이후 지금까지 홀과 주방에서 일할 사람을 구하기가 어렵다”며 “로봇이 직원 한 명 몫을 온전히 하지는 못하지만 ‘보조’ 역할은 충분히 해 15개 전 매장에 도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 제조업체 베어로보틱스는 내수용 로봇 주문이 지난해 1000대에서 올해 상반기에만 3000대 수준으로 급증했다.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은 서빙 로봇 렌털 공급 물량이 지난해 8월 400여 대에서 최근 630대로 약 1년 만에 57.5% 늘었다.
이런 로봇은 롯데백화점 푸드코트, 빕스, SPC 파리크라상 등 대형 유통·프랜차이즈 매장뿐 아니라 자영업자가 운영하는 골목상권에도 진입하고 있다. 치킨 커피 우동 등을 만드는 로봇 등 조리 로봇 시장도 커지고 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로봇 시장은 5조5000억원 규모다. 이 중 제조업용 로봇이 2조8000억원으로 비중이 가장 크지만 매년 시장 규모는 줄어드는 추세다.
반면 전문 서비스용 로봇(안내, 청소, 서빙 등) 시장은 4600억원 규모로 최근 2년간 40% 넘게 성장했다. 서빙 로봇을 도입한 닥터로빈의 최지희 부장은 “코로나19 이후 지금까지 홀과 주방에서 일할 사람을 구하기가 어렵다”며 “로봇이 직원 한 명 몫을 온전히 하지는 못하지만 ‘보조’ 역할은 충분히 해 15개 전 매장에 도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