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수무책 환율 1320원 뚫렸다…미·중發 악재 겹치며 급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원달러 환율 13년 만에 최고
외환 당국 긴급 개입에도
6월 수입물가 33% 치솟아
외환 당국 긴급 개입에도
6월 수입물가 33% 치솟아
원·달러 환율이 13년여 만에 1320원을 넘어섰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을 눈앞에 둔 상황에서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까지 커진 데 따른 것이다.
15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4원 오른 1326원10전에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이 1320원을 넘어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4월 14일(1323원50전) 후 13년3개월 만이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5원90전 오른 1318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이후 약 7분 만에 1320원을 넘어섰다. 외환당국 개입으로 추정되는 물량이 나오면서 장중 1317원으로 내리기도 했지만, 급등세를 막지 못했다. 하루 상승 폭으로는 지난달 29일(15원60전 상승) 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이 치솟은 것은 Fed가 고강도 긴축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간밤에 발표된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두 자릿수인 11.3%를 기록했다. 이 때문에 Fed가 물가를 잡기 위해 오는 26~27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최소한 자이언트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Fed가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하면 한국(연 2.25%)과 미국(연 1.75%→연 2.50%)의 기준금리는 역전된다.
장중 중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0.4%를 기록했다는 발표가 나온 것도 원화 약세(환율 상승)를 부추겼다.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 기대 때문에 일시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내림세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 경기가 둔화할 것이란 위기감이 커지면서 위안화가 약세로 돌아서자 원·달러 환율도 다시 급등했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중국의 펀더멘털에 의심이 생기면서 중국 경제와 동조화 경향이 큰 한국이 유탄을 맞았다”며 “한·미 간 외화 안정 방안이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는 이상 원·달러 환율 급등을 돌리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여파로 지난달 수입물가(원화 기준)는 전월 대비 0.5%, 작년 동월 대비 33.6% 올랐다.
조미현/정의진 기자 mwise@hankyung.com
15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4원 오른 1326원10전에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이 1320원을 넘어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4월 14일(1323원50전) 후 13년3개월 만이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5원90전 오른 1318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이후 약 7분 만에 1320원을 넘어섰다. 외환당국 개입으로 추정되는 물량이 나오면서 장중 1317원으로 내리기도 했지만, 급등세를 막지 못했다. 하루 상승 폭으로는 지난달 29일(15원60전 상승) 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이 치솟은 것은 Fed가 고강도 긴축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간밤에 발표된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두 자릿수인 11.3%를 기록했다. 이 때문에 Fed가 물가를 잡기 위해 오는 26~27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최소한 자이언트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Fed가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하면 한국(연 2.25%)과 미국(연 1.75%→연 2.50%)의 기준금리는 역전된다.
장중 중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0.4%를 기록했다는 발표가 나온 것도 원화 약세(환율 상승)를 부추겼다.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 기대 때문에 일시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내림세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 경기가 둔화할 것이란 위기감이 커지면서 위안화가 약세로 돌아서자 원·달러 환율도 다시 급등했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중국의 펀더멘털에 의심이 생기면서 중국 경제와 동조화 경향이 큰 한국이 유탄을 맞았다”며 “한·미 간 외화 안정 방안이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는 이상 원·달러 환율 급등을 돌리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여파로 지난달 수입물가(원화 기준)는 전월 대비 0.5%, 작년 동월 대비 33.6% 올랐다.
조미현/정의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