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공연계 최대 스캔들…'봄의 제전'과 두 거장의 사랑 [김희경의 영화로운 예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얀 쿠넹 감독 '샤넬과 스트라빈스키'
신에게 제물 바치는 의식 '봄의 제전'
날카로운 불협화음·변칙적인 박자
스트라빈스키-샤넬의 사랑과 닮
신에게 제물 바치는 의식 '봄의 제전'
날카로운 불협화음·변칙적인 박자
스트라빈스키-샤넬의 사랑과 닮
프랑스 파리 샹젤리제 극장. 멋진 턱시도와 예쁜 드레스를 입고 발레 공연을 즐기러 온 사람들로 북적인다. 그런데 공연이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이곳은 온통 난장판이 된다. 객석에서 야유가 쏟아지고 고성이 오간다. 급기야 경찰까지 출동한다.
얀 쿠넹 감독의 영화 ‘샤넬과 스트라빈스키’(2009·사진)에는 20세기 공연계 최고 스캔들로 꼽히는 순간이 생생하고 상세히 담겨 있다. 1913년 5월 29일 러시아 태생의 미국 음악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1882~1971)가 작곡한 발레 ‘봄의 제전’ 초연 현장에서 벌어진 일이다.
이때 객석의 한 여성이 공연을 흥미롭게 감상하며 스트라빈스키를 유심히 지켜본다. 전설적인 디자이너이자 패션의 아이콘인 코코 샤넬(1883~1971)이다. 분야가 달라도 천재는 천재를 알아보는 법일까. 두 사람은 이후 격정적인 사랑에 빠진다.
러시아 유명 발레단인 발레뤼스의 단장이자 뛰어난 공연 기획자인 세르게이 댜길레프가 제작한 ‘봄의 제전’은 고대 러시아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이교도들이 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의식을 그린 작품이다. 스트라빈스키는 이 발레의 음악에 날 것 그대로의 원시성과 폭발적인 생명력을 고스란히 담았다. 그래서인지 이 곡은 결코 듣기에 편안하지 않다. 날카로운 불협화음과 변칙적인 박자가 다소 낯설게 다가온다.
영화에서 알 수 있듯 전설적인 발레리노이자 안무가 바츨라프 니진스키가 선보인 이 작품의 안무는 파격 그 자체였다. 기존 발레와는 완전히 다른 전위적인 동작으로 가득했고, 이로 인해 논란은 더 확산됐다.
그렇다면 스트라빈스키와 샤넬은 정말 연인 관계였을까. 이 이야기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두 사람이 처음 만난 건 영화처럼 1913년이 아니라 1920년이다. 이때 스트라빈스키는 다른 여성과 외도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사실 여부를 떠나 영화는 충분히 매혹적으로 다가온다. 음악과 패션의 역사를 바꾼 두 거장의 만남이기에 더 그런 것 같다. 이들의 공통분모도 눈에 띈다. 스트라빈스키는 전통적인 관습과 기법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것을 창조해 냈다. 이를 통해 큰 성공도 이뤘다. ‘봄의 제전’ 초연으로 그는 오히려 더 유명해졌다. 샤넬은 편안하고 실용적인 소재로 옷을 만들어 코르셋에 속박돼 있던 여성의 몸을 해방시킨 인물로 유명하다.
샤넬은 이렇게 말했다. “그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존재가 되기 위해선 늘 남달라야 한다.” 그 ‘남다름’이라는 것이 나와는 별로 상관없는, 먼 얘기로만 느껴진다. 하지만 꼭 그렇진 않을 수 있다. 영화는 스트라빈스키가 피아노에 앉아 음악에 몰두하는 모습, 샤넬이 사람들을 사로잡을 향수를 만들기 위해 끈질기게 향을 찾고 고민하는 모습을 부각한다. 샤넬이 말한 남다름은 이처럼 노력하는 과정 자체에서 만들어지는 게 아닐까.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
얀 쿠넹 감독의 영화 ‘샤넬과 스트라빈스키’(2009·사진)에는 20세기 공연계 최고 스캔들로 꼽히는 순간이 생생하고 상세히 담겨 있다. 1913년 5월 29일 러시아 태생의 미국 음악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1882~1971)가 작곡한 발레 ‘봄의 제전’ 초연 현장에서 벌어진 일이다.
이때 객석의 한 여성이 공연을 흥미롭게 감상하며 스트라빈스키를 유심히 지켜본다. 전설적인 디자이너이자 패션의 아이콘인 코코 샤넬(1883~1971)이다. 분야가 달라도 천재는 천재를 알아보는 법일까. 두 사람은 이후 격정적인 사랑에 빠진다.
러시아 유명 발레단인 발레뤼스의 단장이자 뛰어난 공연 기획자인 세르게이 댜길레프가 제작한 ‘봄의 제전’은 고대 러시아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이교도들이 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의식을 그린 작품이다. 스트라빈스키는 이 발레의 음악에 날 것 그대로의 원시성과 폭발적인 생명력을 고스란히 담았다. 그래서인지 이 곡은 결코 듣기에 편안하지 않다. 날카로운 불협화음과 변칙적인 박자가 다소 낯설게 다가온다.
영화에서 알 수 있듯 전설적인 발레리노이자 안무가 바츨라프 니진스키가 선보인 이 작품의 안무는 파격 그 자체였다. 기존 발레와는 완전히 다른 전위적인 동작으로 가득했고, 이로 인해 논란은 더 확산됐다.
그렇다면 스트라빈스키와 샤넬은 정말 연인 관계였을까. 이 이야기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두 사람이 처음 만난 건 영화처럼 1913년이 아니라 1920년이다. 이때 스트라빈스키는 다른 여성과 외도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사실 여부를 떠나 영화는 충분히 매혹적으로 다가온다. 음악과 패션의 역사를 바꾼 두 거장의 만남이기에 더 그런 것 같다. 이들의 공통분모도 눈에 띈다. 스트라빈스키는 전통적인 관습과 기법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것을 창조해 냈다. 이를 통해 큰 성공도 이뤘다. ‘봄의 제전’ 초연으로 그는 오히려 더 유명해졌다. 샤넬은 편안하고 실용적인 소재로 옷을 만들어 코르셋에 속박돼 있던 여성의 몸을 해방시킨 인물로 유명하다.
샤넬은 이렇게 말했다. “그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존재가 되기 위해선 늘 남달라야 한다.” 그 ‘남다름’이라는 것이 나와는 별로 상관없는, 먼 얘기로만 느껴진다. 하지만 꼭 그렇진 않을 수 있다. 영화는 스트라빈스키가 피아노에 앉아 음악에 몰두하는 모습, 샤넬이 사람들을 사로잡을 향수를 만들기 위해 끈질기게 향을 찾고 고민하는 모습을 부각한다. 샤넬이 말한 남다름은 이처럼 노력하는 과정 자체에서 만들어지는 게 아닐까.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