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외식업계·급식업계에서 일할 사람이 없어 난리입니다.”

한 대형 외식프랜차이즈업체 대표는 최근 주방·서빙 분야에서 아무리 구인 광고를 내도 지원하는 사람이 적어 결국 ‘서빙 로봇’을 대거 도입하기로 했다. 메뉴도 인력이 가급적 적게 필요한 품목 위주로 개편했다.

외식업계를 포함해 소상공인업계가 체감하는 인력난이 극심해지고 있다. 키오스크 도입을 늘리고 부분 무인화로 대응하고 있지만 비용 부담이 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 외식업체 대표는 “코로나19 사태로 중국 동포들의 입국이 줄면서 식당에서 일할 사람이 크게 부족해졌다”며 “적은 인원으로도 식당이 돌아갈 수 있도록 영업시간을 더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수도권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한 점주는 최근 가맹본부 몰래 야간에 문을 닫고 있다. 가맹본부 허가 없이 편의점 운영시간을 줄이면 계약 해지 사유가 되지만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해 임시로 문을 닫고 있는 것이다. 이 점주는 “사람을 구하기 어렵다 보니 가맹본부도 어려운 형편을 이해해 대대적인 ‘미영업 단속’을 못하고 있다”며 “정부에서 각종 청년수당을 많이 줘 MZ세대(밀레니얼+Z세대)들은 구직 지원조차 안 한다”고 했다.

소상공인 업종의 취업자 감소는 통계로도 나타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숙박 및 음식점업 취업자는 215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확산 직전인 2019년(230만3000명)보다 15만명가량 줄었다. 대신 편의점, 프랜차이즈 식음료점을 중심으로 키오스크 도입이 늘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요식업 등 민간 분야 키오스크는 2019년 8587대에서 3년 새 2만6574대로 세 배 이상 증가했다.

하지만 무인화에 필요한 각종 장비와 운영 비용의 부담이 커 영세 소상공인일수록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지난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디지털 전환에 성공한 소상공인은 18.4%에 불과했다.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장은 “소상공인들의 생존을 위해 업종 및 디지털 전환 지원 등 정책 배려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민경진/안대규 기자 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