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금융, 일하는 방식·조직문화 '올 디지털'…메타버스에 'NH비전타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모바일뱅킹 앱 '올원뱅크' 중심
종합금융플랫폼 지난달 선보여
CEO가 책임 지고 디지털 혁신
종합금융플랫폼 지난달 선보여
CEO가 책임 지고 디지털 혁신
![손병환 농협금융 회장(왼쪽)과 농협은행 최초 인공지능(AI) 행원 이로운 과장이 지난 4월 ‘농협금융 디지털전환(DT)추진최고협의회’에서 공개된 영상에서 농협금융 출범 10주년 기념 열자(字)토크를 진행하고 있다. 농협금융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AA.30671195.1.jpg)
‘고객이 체감하는 올 디지털’을 목표로 내건 농협금융이 디지털 전환(DT)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는 디지털 인프라를 고도화해 일하는 방식과 조직문화를 속속들이 ‘올 디지털’로 혁신하고 실제 사업 성과로 연결시키는 게 목표다. 출범 10주년을 맞은 농협금융은 플랫폼사업자로의 변신을 선언하고 고객이 일상의 모든 순간에서 금융을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종합금융플랫폼을 실현하는 데 힘쓰고 있다. 손병환 농협금융 회장은 “새로운 10년을 위한 미래기반의 중심에는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합 플랫폼 ‘올원뱅크’
![농협금융, 일하는 방식·조직문화 '올 디지털'…메타버스에 'NH비전타운'](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AA.30696495.1.jpg)
단순한 간편뱅킹 앱이었던 올원뱅크는 모든 계열사를 아우르는 대표 관문(포털)으로 재탄생했다. 소비자는 올원뱅크 앱만 있으면 자산관리, 금융상품 가입, 보험 간편 청구, 주식 조회·주문, 바코드 결제, 캐피털·저축은행 연계대출 등 각 계열사의 핵심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해당 계열사 앱에서만 쓸 수 있는 부가서비스의 경우에도 자동 로그인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해 매끄러운 사용자 경험을 구현했다는 설명이다.
![농협금융, 일하는 방식·조직문화 '올 디지털'…메타버스에 'NH비전타운'](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AA.30696494.1.jpg)
농협생명은 보험금 청구·심사 프로세스 전면 비대화를, 농협캐피탈은 모바일 앱을 신설해 비대면 신용대출을 확대하겠다는 과제를 정했다. 손 회장은 “인구 감소가 가파르게 진행되는 현실에서 디지털 생활에 익숙한 미래 세대를 잡지 못하면 우리의 기존 고객 기반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며 “비대면 프로세스를 꾸준히 개선해 미래 고객 확보에 절실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DT 강화를 당부했다.
○데이터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
농협금융은 데이터 경제로의 전환에 발 맞춰 그룹의 데이터 비즈니스 생태계를 조성하는 과제에도 착수했다. 농협금융만의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NH-DMP) 구축은 그 첫 단계다. NH-DMP는 비식별 ID를 기반으로 고객의 디지털 행동 데이터를 분석해 보다 종합적이고 정교한 고객 맞춤형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마케팅 지원 플랫폼이다.○“고객이 필요한 것을 제공해야”
디지털 마인드를 강조하는 손 회장은 항상 “‘우리가 해보고 싶은 것’이 아니라 ‘고객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새로운 기술과 신사업이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세심한 부분에서부터 고객 경험을 혁신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손 회장은 2015년 스마트금융부장 재임 시 NH핀테크혁신센터 설립, 한국 최초 오픈 API 도입에 크게 기여했다. 농협 내 최고 디지털 전문가로 손꼽힌다. 손 회장은 “농협금융의 2870만명 모바일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차원의 편리한 금융 생활을 선사하겠다”고 밝혔다.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