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프리미엄 전시공간'으로 활용
올 가을 첫 '청와대 소장품 특별전'
역대 대통령 자녀 등 자문 받아
대통령 역사문화공간도 조성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지난 20일 정부서울청사 업무보고 사전 브리핑에서 “청와대 건물을 프리미엄 근·현대 미술 전시 공간으로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21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새 정부 첫 업무보고를 했다.
박 장관은 여러 차례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을 예시로 들었다. 그는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처럼 청와대 건축물의 원형을 보존하면서 품격 있는 전시공간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춘추관 2층 기자회견장에서는 다음달께 장애인 미술 특별전을 계획 중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자택과 대통령실에 걸린 작품을 그린 발달장애 화가 김현우 등의 작품이 전시될 예정이다.
녹지원 등 야외 공간은 조각공원 및 야외 특별전시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이 같은 활용 방안은 "역사성을 바탕으로 한다"는 설명이다. 박 장관은 "베르사유 궁전을 가보면 건물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소개부터 시작한 뒤 그림을 만나고 예술품과 어울린다"며 "영빈관 역시 '박정희 대통령 시절 왜 영빈관을 만들었을까' 하는 역사성부터 이야기를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 역대 대통령 자녀·친인척, 대통령학 전문가 등을 중심으로 자문위원단도 꾸린다. 현재 자문위원으로 언급되는 인물은 조혜자(이승만 대통령 며느리), 윤상구(윤보선 대통령 아들), 박지만(박정희 대통령 아들이자 박근혜 대통령 동생), 노재헌(노태우 대통령 아들), 김현철(김영삼 대통령 아들), 김홍업(김대중 대통령 아들) 등이 있다. 1939년 준공돼 조선총독 관저로도 사용되다가 1993년 철거된 옛 본관은 모형으로 복원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청와대를 전시장으로 재탄생시킬 경우 역사적 건축물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청와대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침류각(서울시 문화유산), 오운정(서울시 문화유산), 석조여래좌상(보물 1977호) 등 문화유산 보존도 숙제다. 박 장관은 "청와대 공간이 놀이터가 돼선 안 된다"며 "아무나 뛰노는 곳으로 만들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