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11개 해역·92㏊ 인공어초 투하·보강…'수산자원 증강'
경남도는 안정적인 해양생태계를 유지하고 지속가능한 어업생산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어업인들의 소득을 높이는 인공어초 사업을 올해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올해는 도내 11개 해역, 92ha에 인공어초를 설치하거나 보강한다.

수산 동식물의 산란과 서식장을 제공하기 위해 30억원을 투입해 인공어초를 설치한다.

이미 설치한 어초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유실 어초 보강, 시설상태 조사, 폐기물 수거 등에 6억원을 투입한다.

지난달 통영시 원항해역에 팔각반구형 대형강제어초 투하를 시작으로 남해군 3개 해역에 상자형어초 등을 설치했다.

또 하동군 등 7개 해역에 투하하기 위한 인공어초를 제작해 9월까지 설치를 끝낼 계획이다.

인공어초는 어패류, 해조류가 자랄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만든 인공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강철로 만든 강제, 폐선 등을 바다에 투하하면 구조물에 해조류가 부착하면서 물고기들이 몸을 숨길 수 있는 은신처 또는 서식처가 된다.

해조류를 먹고 사는 전복, 소라 등 어패류의 산란과 서식 공간을 제공한다.

경남도는 수산자원 회복을 위해 1972년부터 지난해까지 877개 해역, 3만8천511㏊에 인공어초를 설치해 수산자원 생산량을 안정화하고 연안어업인과 낚시어업인의 소득 증대에 도움을 주고 있다.

하해성 경남도 수산자원과장은 "인공어초는 수산생물에 양질의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써 수산자원 증강과 지속가능한 어업생산환경을 조성한다"며 "수산자원 조성 기반시설 설치와 사후관리로 어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