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데타·기강문란 등 지적에 갈등 더 커져…직협 주도 홍보전·1인 시위도 지속
이번에는 14만 전체 경찰회의…거세지는 경찰 일선 반발(종합)
행정안전부 경찰국 사태가 확전하면서 30일 예정된 경감·경위급 현장팀장회의가 14만 전체 경찰회의로 확대 추진되는 등 경찰 일선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지난주 전국경찰서장회의가 총경 계급의 상징성으로 인해 논란이 됐다면, 30일 전체 회의는 참석 규모에 따라 '경찰국 사태'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처음 현장 팀장 회의를 제안한 서울 광진경찰서 김성종 경감은 26일 경찰 내부망에 글을 올려 "당초 팀장회의를 경찰인재개발원에서 개최하려 했으나 현장 동료들의 뜨거운 요청들로 '전국 14만 전체 경찰회의'로 변경하게 됐다"고 공지했다.

김 경감은 "참석 대상자를 14만 전체 경찰로 확장함에 따라 수천 명까지는 아니더라도 1천명 이상의 참석자가 예상되기에 강당보다는 대운동장으로 회의 장소를 선택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윤희근 경찰청장 후보자를 향해 "30일 오후 2시 14만 전국 경찰은 지난주 개최한 서장회의와 동일한 주제로 회의를 연다"며 "총경들에게 하셨던 불법적인 해산명령을 저희 14만 전체 경찰에도 똑같이 하실 건지 똑똑히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또 회의는 유튜브로 생중계하겠다고 예고했다.

김 경감의 글은 올린 지 3시간도 되지 않아 1만8천회 이상 조회 수를 기록했고 댓글도 700개가 넘게 달리며 지지를 얻고 있다.

한 경찰관은 "우리 경찰은 하나임을 보여줘야 한다.

30일 주간 근무자들은 참석자들의 공백이 없게 기본에 충실해야 명분이 선다"고, 또 다른 경찰관은 "쿠데타 같은 말을 하는데 지금 가만히 있으면 정말 배부른 투정을 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라고 적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현장 의견 수렴을 했고 공감이 있었다는데 정작 당사자인 우리는 어떤 말이 오고 갔는지도 모른다", "경찰 관련 뉴스에 적극적으로 댓글을 달자", "경찰관뿐만 아니라 가족과 지인도 동참하자" 같은 글도 이어졌다.

또 경찰국 신설안이 이날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자 "1990년 치안본부 시절로 돌아간다.

역사의 죄인이 된 것 같다" 같은 글도 속속 올라오고 있다.

앞서 경찰청은 전국경찰서장회의를 주도한 류삼영 울산중부서장을 대기발령 했고 현장 참석자 56명에 대해 감찰에 착수했다.

윤 후보자는 전날 퇴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오늘을 기점으로 더는 국민들께 우려를 끼칠 일이 없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경찰 지휘부는 각 시도경찰청에 사실상 '집단행위를 하지 말라'는 경고문을 하달했다.

그러나 정부·여당에서 '쿠데타', '중대한 기강문란', '부화뇌동' 등 강경한 기조가 이어지면서 경찰 직장협의회(직협)를 중심으로 한 거리에서의 대국민 홍보전과 1인시위도 더 불이 붙은 분위기다.

행안부 경찰제도개선안에 반대하는 입법청원을 받는 홈페이지도 개설됐다.

국가직공무원노동조합 경찰청지부와 경찰청주무관노동조합도 이날 오전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청은 류 총경 대기발령을 즉각 취소하고 감찰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복종이라는 건 정당해야만 가능하다.

우리는 영혼이 없지 않고 생각하는 공무원"이라며 "쿠데타니 특정세력이 선동한다느니 폄하하는 건 그만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에는 14만 전체 경찰회의…거세지는 경찰 일선 반발(종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