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업무 중 휴게시간 수당 지급 여부는 노사합의 사안…무조건 유급 아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인천지법 민사11부(정창근 부장판사)는 A씨 등 우체국물류지원단 소속 단시간 근로자 7명이 지원단을 상대로 낸 근로시간 차별시정 소송에서 최근 원고 패소 판결했다.
이들은 오후 2시에 출근해 밤 11시까지 9시간 동안 일하는 일반 근로자와 비교해 근무시간만 다를 뿐 같은 업무를 했다.
일반 근로자는 유급 1시간과 무급 1시간 등 총 2시간의 휴게시간을 보장받지만, 단시간 근로자는 무급으로 30분 휴게시간만 쓸 수 있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이 4시간이면 30분 이상, 8시간은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법원은 A씨 등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근로시간은 4시간 30분이고, 이 중 30분은 유급으로 한다는 노사 합의가 없었기 때문에 무급 휴게시간”이라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이어 “근로기준법에는 ‘사용자는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 30분 이상의 휴게시간을 줘야 한다’고 돼 있지만, 해당 휴게시간이 유급인지 무급인지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또 “원고들은 4시간 30분의 근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휴게시간을 임금 지급의 대상이 되는 근로시간에 포함한 것”이라며 “원고들의 청구를 기각한다”고 덧붙였다. 재판부는 하루당 800여만원씩을 지급해 달라는 원고 7명의 청구를 기각하고 소송 비용도 모두 원고들이 부담하라고 명령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