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01.30884741.1.jpg)
필자는 종종 기업 관계자에게 ESG의 범위에 대한 질문을 받는다. 예컨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기업활동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거나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등의 활동은 비교적 명확하다. 그런데 이렇듯 방향성이 대체로 분명한 것을 넘어서면 ESG의 활동이 어디까지인지 모호해진다. 어디까지가 기업이 추구해야 할 ESG의 요소인지, 그 판단 기준은 무엇인지 명확한 답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이렇듯 광범위하고 계량화하기 어려운 많은 요소를 포함한 ESG는 기업이 역량을 집중하고 투자를 해야 하는 것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어렵게 한다.
이런 상황에서 흔히 수동적(reactive) ESG 활동에 집중하는, 보여주기식 ESG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 근본적 혁신보다는 외부의 시선에 신경 쓰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ESG 평가(rating)를 높이는 활동에 ESG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다. 좋은 평가를 받아 투자를 유치하고 회사 홍보를 위해 활용하는 것도 좋지만, 진정한 가치 창출과 거리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제는 수동적 대응을 넘어 능동적(proactive) ESG로 나아가야 한다. 기업의 ESG 실행은 ESG를 추구함으로써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적극적 활동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 실제 여러 사례 연구에서 ESG에 성공한 기업은 장기적 안목으로 적극적 변화를 추구했다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의 전략과 운영에서 ESG 실행력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수준으로 ESG를 체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략적 관점에서 ESG의 실행 방향을 수립하고 실행력을 갖출 수 있도록 조직을 정비해야 한다. 또 무엇보다 스스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ESG에 대한 자체 측정 체계(metrics)를 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ESG 요소에서 스스로 어떤 위치에 있는지 측정 체계가 명확하지 않은 기업이 의외로 많다. 정확한 진단이 없으니 처방이 나올 수 없는 것이다. 기업의 미래와 기회를 한계 없이 상상하고 적극적으로 변화를 추구하는 능동적 ESG의 실행은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명확히 밝히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이상준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