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0.25%p 오르면 민간소비 최고 0.15% 감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준금리 인상 영향 가시화될것…주가 하락이 민간 소비에 영향"
"고용 개선·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등이 금리 충격 완화할것" 우리나라의 경기에 활력을 넣었던 민간 소비가 향후 성장률을 끌어내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최근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식이나 부동산과 같은 자산의 가격은 내려가고 이자 부담은 늘어난 데 따라 지갑을 닫는 소비자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동향분석팀은 27일 발표한 '금리 상승의 내수 부문별 영향 점검' 보고서에서 "지난해 8월부터 이어지는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이 점차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동향분석팀이 거시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민간 소비의 금리 탄력성은 평균 0.04∼0.15%로 나타났다.
기준금리가 0.25%포인트(p) 올랐을 경우 민간소비가 최대 0.15% 감소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는 설비투자(0.07∼0.15%)나 건설투자(0.07%∼0.13%) 금리탄력성과 유사한 수준이지만, 민간소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훨씬 크기 때문에 성장률 하락에 기여하는 수준도 높게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올 2분기 성장률은 0.7%로 집계돼 예상치를 웃돌았는데, 여기서 민간소비의 기여도는 1.4%포인트로 분석되며 정부 소비(0.2%포인트)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특히 글로벌 금리 상승으로 최근 주가가 상당 폭 하락한 데 더해 집값 역시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되며 향후 소비가 더 제약될 수 있다고 봤다.
과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른 이후 6분기에 접어들면 주가와 집값 하락 영향에 따른 민간소비 감소 폭은 최고 0.12%에 달했다.
보고서는 "집값보다는 주가가 민간소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최근의 주가가 크게 하락한 점이 소비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단 기준금리가 올라 저축으로 돈이 몰리는 현상이 소비를 직접적으로 제약할 가능성은 작다고 판단했다.
설비투자 부문에서는 금리 상승이 환율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달러를 사들이는 원화 가치가 높아지는 압력이 발생하는데, 이 경우 자본재를 수입해야 하는 업체 입장에서 비용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업종별로는 비제조업이 금리 상승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IT 제조업의 민감도가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투자는 자금조달 비용이 늘어나며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수도권보다 비수도권, 건물 유형별로는 공업용보다 상업용의 건물 수요가 금리 상승에 더 민감한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금리 상승으로 인한 수요 둔화는 어느 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런 비용보다는 물가 안정과 같은 편익이 더 크다는 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면서 "고용과 임금의 견조한 개선과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기조, IT 제조업의 대규모 투자계획 등은 금리 충격을 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고용 개선·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등이 금리 충격 완화할것" 우리나라의 경기에 활력을 넣었던 민간 소비가 향후 성장률을 끌어내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최근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식이나 부동산과 같은 자산의 가격은 내려가고 이자 부담은 늘어난 데 따라 지갑을 닫는 소비자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동향분석팀은 27일 발표한 '금리 상승의 내수 부문별 영향 점검' 보고서에서 "지난해 8월부터 이어지는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이 점차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동향분석팀이 거시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민간 소비의 금리 탄력성은 평균 0.04∼0.15%로 나타났다.
기준금리가 0.25%포인트(p) 올랐을 경우 민간소비가 최대 0.15% 감소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는 설비투자(0.07∼0.15%)나 건설투자(0.07%∼0.13%) 금리탄력성과 유사한 수준이지만, 민간소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훨씬 크기 때문에 성장률 하락에 기여하는 수준도 높게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올 2분기 성장률은 0.7%로 집계돼 예상치를 웃돌았는데, 여기서 민간소비의 기여도는 1.4%포인트로 분석되며 정부 소비(0.2%포인트)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특히 글로벌 금리 상승으로 최근 주가가 상당 폭 하락한 데 더해 집값 역시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되며 향후 소비가 더 제약될 수 있다고 봤다.
과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른 이후 6분기에 접어들면 주가와 집값 하락 영향에 따른 민간소비 감소 폭은 최고 0.12%에 달했다.
보고서는 "집값보다는 주가가 민간소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최근의 주가가 크게 하락한 점이 소비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단 기준금리가 올라 저축으로 돈이 몰리는 현상이 소비를 직접적으로 제약할 가능성은 작다고 판단했다.
설비투자 부문에서는 금리 상승이 환율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달러를 사들이는 원화 가치가 높아지는 압력이 발생하는데, 이 경우 자본재를 수입해야 하는 업체 입장에서 비용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업종별로는 비제조업이 금리 상승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IT 제조업의 민감도가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투자는 자금조달 비용이 늘어나며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수도권보다 비수도권, 건물 유형별로는 공업용보다 상업용의 건물 수요가 금리 상승에 더 민감한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금리 상승으로 인한 수요 둔화는 어느 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런 비용보다는 물가 안정과 같은 편익이 더 크다는 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면서 "고용과 임금의 견조한 개선과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기조, IT 제조업의 대규모 투자계획 등은 금리 충격을 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