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보고서…"인재 유치 프로그램으로 13명과 관계 구축…협박도 일삼아"
실제 정보 유출 여부는 안 밝혀…파월 연준의장·중국은 보고서 반박
"중국, 10년간 미 연준 직원 포섭…보상 대가로 정보 요구"
중국이 10년 가까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에 정보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민감한 정보를 빼내려 한 정황이 미 의회 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ABC방송 등에 따르면 미국 상원 국토안보·정부업무 위원회의 공화당 소속 의원들은 이날 발표한 조사보고서에서 중국이 '요주의 인물'(persons of interest)로 지정된 연준 직원 13명과 오랜 기간 관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연준은행 8곳 출신으로 상당수가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나 중국 언론, 중국 정부가 2008년 만든 해외인재 유치 프로그램인 '천인계획'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들에게 'P-네트워크'라는 이름을 붙였다.

특히 중국 정부는 천인계획을 활용해 연준 직원이 민감한 데이터를 제공하면 그 대가로 중국 대학·연구기관에 자리나 연구 지원 등 보상을 약속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에는 5가지 사례가 구체적으로 실렸다.

외신이 꼽은 가장 심각한 사례로는 미중 무역전쟁인 한창이었던 2019년 중국 관료들이 상하이를 방문한 연준 경제학자를 4차례에 걸쳐 구금하고 협박한 것이었다.

중국은 이 직원에게 민감한 미공개 경제 데이터를 공유하고 중국 고위 관료에게 관세 등 민감한 경제 문제를 조언해달라고 강요했다.

다른 직원은 중국 측과 지속적인 연락을 취한 이후 연준의 방대한 자료를 외부 사이트로 전달하려고 최소 두 차례 시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직원은 조사가 시작되자 이메일 주소를 바꾸고 중국에 기밀정보를 제공해 체포된 사례와 관련된 기사를 인터넷에서 검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는 특정 웹사이트 비밀번호로 중국 국가주석의 이름인 '시진핑'을 썼다.

위원회는 중국 정부가 연준에 정보원을 구축하고 기밀을 빼내려는 시도가 약 2013년부터 시작돼 10년 가까이 진행된 것으로 봤다.

다만 보고서는 민감한 정보가 실제로 유출됐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중국, 10년간 미 연준 직원 포섭…보상 대가로 정보 요구"
연준은 의회 조사가 시작되고서야 내부 관계자가 중국을 포함한 특정 국가로부터 보상을 받는 것을 금지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위원회 소속 롭 포트먼 공화당 의원은 연준이 이러한 위협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데 실패했다고 지적하며 연방수사국(FBI)과 협력해 대응을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연준 측은 조사 결과의 정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전날 포트먼 의원에게 보낸 편지에서 "출처가 어디든 우리가 잘못했다는 주장에 근거가 있으면 당연히 걱정될 것"이라면서도 "오히려 우리는 특정 직원에 대한 부당하고, 근거 없고, 확인되지 않은 주장이 나오는 상황이 심히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전했다.

중국도 보고서 내용을 반박했다.

류펑위 주미 중국 대사관 대변인은 보고서에 대해 "냉전식 제로섬 사고방식"이라고 비난하며 "경제, 금융, 기타 분야에서 중국과 미국 간 협력은 개방적이고 공정하다.

미국은 양국 간 지역 및 비정부 차원의 교류를 방해하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