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알레르기 비염 환자, 10명 중 6명은 아빠 영향 받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성인 환자는 유전적 영향 크지 않아
소아는 아토피 피부염, 식품 알레르기 증상 많아
소아는 아토피 피부염, 식품 알레르기 증상 많아
소아 알레르기 비염에 유전적 영향이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 비염에 걸린 소아 환자 10명 중 6명은 아버지도 같은 병력이 있었다.
3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19~2021년 서울·경기 지역 병원을 찾은 알레르기 비염 환자 385명(성인 222명, 소아 16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소아 환자의 62.8%에게서 아버지의 알레르기 비염 이력이 확인됐다.
어머니가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경우는 47.8%에 불과했다. 어머니에게 피부알레르기가 있는 경우는 32.4%였다.
성인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유전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성인의 14.9%와 13.0%에게만 각각 아버지와 어머니의 알레르기비염 병력이 있었다.
과거 병력 중에서는 성인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경우 위장관 질환(68.8%), 빈번한 코피(89.6%) 증상이 많았다. 소아는 아토피 피부염(50.0%), 식품 알레르기(34.1%), 세기관지염(22.4%), 천식성기관지염(16.3%), 기관지염(36.6%) 등이었다.
성인의 경우 73.3%가 증상이 중증이었지만, 소아는 58.9%가 경증이어서 소아의 증상이 상대적으로 약한 편이었다. 코 점막이 특정 물질에 대하여 과민반응을 나타내는 알레르기 비염은 지난해 기준 환자 수가 490만명을 넘을 정도로 많은 다빈도 질병이다. 이중 0~9세 소아 환자는 전체 진료인원의 29.6%를 차지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3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19~2021년 서울·경기 지역 병원을 찾은 알레르기 비염 환자 385명(성인 222명, 소아 16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소아 환자의 62.8%에게서 아버지의 알레르기 비염 이력이 확인됐다.
어머니가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경우는 47.8%에 불과했다. 어머니에게 피부알레르기가 있는 경우는 32.4%였다.
성인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유전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성인의 14.9%와 13.0%에게만 각각 아버지와 어머니의 알레르기비염 병력이 있었다.
과거 병력 중에서는 성인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경우 위장관 질환(68.8%), 빈번한 코피(89.6%) 증상이 많았다. 소아는 아토피 피부염(50.0%), 식품 알레르기(34.1%), 세기관지염(22.4%), 천식성기관지염(16.3%), 기관지염(36.6%) 등이었다.
성인의 경우 73.3%가 증상이 중증이었지만, 소아는 58.9%가 경증이어서 소아의 증상이 상대적으로 약한 편이었다. 코 점막이 특정 물질에 대하여 과민반응을 나타내는 알레르기 비염은 지난해 기준 환자 수가 490만명을 넘을 정도로 많은 다빈도 질병이다. 이중 0~9세 소아 환자는 전체 진료인원의 29.6%를 차지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