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이 찾는 전문가 되자, 그 목표가 무기 됐다"
“‘전문가들도 찾는 전문가’가 되자, 그게 목표였어요. 여성 변호사로서 경쟁력을 키우는 열쇠가 된 것 같습니다.”

법무법인 광장의 오현주 변호사(사법연수원 28기·사진 왼쪽)와 박금낭 변호사(31기·오른쪽)는 지난 2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며 “광장은 다른 로펌의 비해 변호사가 한 분야에 오랫동안 정착하며 그 전문성의 뿌리가 매우 깊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글로벌 법률 전문지가 발표하는 ‘올해의 아시아 여성 변호사’에 각각 선정됐다. 오 변호사는 아시안리걸비즈니스(ALB)가 발표한 ‘2022년 아시아 톱 여성 변호사 15인’에 국내에선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박 변호사 역시 송무·분쟁해결 분야 전문 매체 ‘벤치마크 리티게이션’으로부터 아시아태평양지역 ‘여성 변호사 100인’과 지식재산권 분야의 소송 스타 변호사에 동시에 선정됐다. 오 변호사는 광장에서 자본시장 분야의 팀장을, 박 변호사는 헬스케어 분야 팀장을 각각 맡고 있다.

두 변호사 모두 법조인의 길을 걷기 전에 경험한 전문성을 이어갔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오 변호사는 대학 졸업 이후 한국경제신문 기자로 근무한 이력을 갖고 있다. 오 변호사는 “기자로 일하며 금융규제가 방대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변호사의 전문성이 돋보이면서도 시장 전반에 맞닿아 있는 게 매력적이어서 다른 분야는 생각해보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 변호사는 서울대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약물학 석사를 취득한 뒤 변호사의 길로 들어섰다. 박 변호사는 “바이오 분야는 혁신을 하려면 특허기술이 필수적”이라며 “특허기술의 보호 없이는 혁신도 일어날 수 없어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오 변호사와 박 변호사 모두 변호사 생활의 시작부터 지금까지 광장에 몸담고 있다. 한 로펌에 장기간 근무하면서 한 분야에 천착한 것이 전문성 강화에 큰 도움을 줬다고 설명했다. 박 변호사는 “선배 변호사들이 성별이 아니라 실력에 따른 대우를 해줬고, 남녀 성별 차이를 인식하지 않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줬다”며 “이와 같은 조직 문화 덕분에 좋은 성과를 올릴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후배 변호사들에게 “속도보다 방향이 중요하다”는 당부를 자주 한다. 오 변호사는 “다들 일과 가정을 완벽하게 해내려다 보니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다”며 “완벽보다는 ‘오래 해야 하는 일’이라는 생각으로 불안을 다스리면 좋겠다”고 했다.

오현아 기자 5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