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민간 우주 발사체 기업들의 기술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최근 부품 수급과 하드웨어 관리 등에서 어려움을 겪어 발사 일정을 잇달아 연기하면서다. 우주 분야는 특성상 정부 지원이 필수지만 한국은 선진국보다 우주 예산이 부족하고 계엄 사태로 정부 컨트롤타워가 제 역할을 못 하고 있다. 부품 납품 지연으로 엔진 문제 발생22일 업계에 따르면 우주 항공 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기업공개(IPO)에 성공한 이노스페이스는 최근 위성 발사체 ‘한빛-나노’ 발사를 내년 3월에서 7월로 조정했다. 발사체의 전기 펌프 부품 확보와 신규 시험장 구축 지연이 중요 요인으로 꼽힌다. 이노스페이스는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핵심 부품의 대체 공급업체를 확보하고, 국내외 공급망을 모두 활용해 단일 공급업체 의존을 줄인다는 계획이다.신규 시험장은 ‘단인증시험(종합연소시설) 시설’에서 우선 사용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단인증시험은 발사체 발사 전 지상 시험의 최종 관문으로 발사체를 수직 시험대에 고정한 상태에서 이뤄진다. 당초 이노스페이스는 내년 총 7회 상업 발사를 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일정이 밀리면서 연 4회 발사로 줄일 전망이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는 “안정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10월 해상 발사 플랫폼(MLP)에서 발사하기로 한 준궤도 발사체 ‘블루웨일(BW) 0.4’의 시험 발사를 내년 1분기로 연기했다. MLP에 발사체를 고정 후 보완 사항이 발견돼 일정 연기가 불가피해졌다는 설명이다. 페리지는 발사체를 항구와 MLP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주요 하드웨어가 5개월 이상 해양 환경에 노출된 영향이 큰 것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논증(reasoning) 능력에 특화한 새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o3’를 공개했다. 오픈AI가 범용인공지능(AGI)에 근접한 모델을 내놓으면서 더 똑똑한 AI를 개발하려는 빅테크 간 경쟁이 격화할 전망이다.오픈AI는 지난 20일 일부 개발자를 대상으로 미리 이용하기 형태로 o3를 공개했다. 다음달부터 경량형 모델 ‘o3 미니’와 o3를 차례로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o3는 이전 모델인 ‘o1’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모델명 o2를 건너뛴 이유는 영국 통신사 O2가 있기 때문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o3는 많은 추론이 필요한 복잡한 작업을 할 수 있다”며 “우리는 이 모델을 다음 단계 AI의 시작으로 본다”고 말했다.o3는 이용자의 프롬프트(명령어)를 받으면 자신의 논증을 정리한 뒤 가장 정확하다고 판단한 응답을 요약해 제공한다. 프로그램 개발 맞춤형 벤치마크(기준지표) ‘SWE-벤치 베리파이드’에서 o1보다 22.8%포인트 높은 성능을 보였다. 컴퓨터 코딩 실력 측정 지표인 ‘코드포스’에서는 2727점을 기록했다. 올해 미국 수학경시대회(AIME)에선 단 한 문제만 틀린 96.7%의 정답률을 기록해 o1(83%)보다 훨씬 높은 성적을 거뒀다.오픈AI는 o3가 AGI에 근접한 최초의 모델이라고 주장했다. o3는 AGI 측정을 위한 벤치마크 ‘ARC-AGI’에서 75.7점을 기록해 o1(32점)보다 성능이 대폭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o3에 새로 도입된 ‘추론 시간 조정’ 기능을 활용하면 연산 시간을 낮음·중간·높음 등 3단계로 설정할 수 있는데, 연산 시간을 늘린 결과 점수는 87.5점까지 올라갔다. 인간 평균(85점)을 능가하
올해 정보보호 분야에 투자를 가장 많이 한 기업은 삼성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공격 위협이 증가하면서 국내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와 관련 인력은 증가하고 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2일 공개한 ‘2024년 정보보호 공시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공시 기업의 평균 정보보호 투자액은 29억원, 평균 전담 인력은 10.5명으로 조사됐다. 전년 대비 평균 투자 금액은 11%, 평균 전담 인력은 9.4% 증가했다.올해 정보보호 분야에 가장 많이 투자한 기업은 삼성전자로 2974억원을 투입했다. 국내 공시 기업의 평균 정보보호 투자액 29억원보다 100배 이상 많은 수준이다.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정보기술(IT) 기기를 제조하고, 다양한 연구개발(R&D)을 수행하는 회사의 특성상 높은 수준의 보안이 필요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다음은 KT(1218억원) 쿠팡(660억원) 삼성SDS(632억원) LG유플러스(632억원) SK하이닉스(632억원) SK텔레콤(600억원) 우리은행(428억원) 국민은행(421억원) 네이버(417억원) 등의 순이었다.올해 정보보호 공시 업체는 의무 공시 655곳, 자율 공시 91곳 등 746곳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정보보호 투자 금액은 2조1196억원으로 1년 전보다 15.7% 증가했다. 전담 인력은 7681.4명으로 전년 대비 13.9% 늘었다. 정보보호 전담 인력이 가장 많은 기업은 삼성전자로 957.4명이었다. KT(336.6명) 삼성SDS(331.6명) SK텔레콤(222.4명) 쿠팡(190.9명) 등이 뒤를 이었다. 상위 10대 기업 중 상당수가 정보통신업체인 것으로 나타났다.정보보호 공시 이행 기업은 2022년부터 전년 정보보호 현황을 정보보호 공시 종합포털에 입력하고 있다. 최근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및 정보보호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