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 실·과장 울산 방문, 김두겸 시장 휴가 중 동행해 당위성 호소
'그린벨트 해제' 최우선 울산시정 성과 볼까…국토부, 현장 점검
국토교통부가 '울산권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GB) 해제'와 관련해 처음으로 현장을 점검, 민선 8기 울산시정 최대 과제로 꼽히는 이 사업이 구체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3일 울산시에 따르면 국토부에서 그린벨트 업무를 담당하는 문성요 국토도시실장과 박연진 녹색도시과장 등 관계자들이 울산지역의 그린벨트 현황과 문제점 등을 살피고자 이날 울산을 방문했다.

이들은 먼저 울산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이 예정된 울주군 청량읍 율현지구 도시개발사업 현장을 확인했다.

이어 북구 창평동 북울산역 역세권 개발 대상지 일원 그린벨트도 둘러보며 현황 설명을 들었다.

특히 북구 일원의 그린벨트는 도심 한가운데 지정된 탓에 시가지 단절 등 부작용을 초래, 도시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울산시는 민선 8기 들어 해당 지역과 중구 일원에 걸쳐 지정된 그린벨트의 해제와 조정 등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취임 전부터 그린벨트를 해제해 산업단지와 신도시 등을 조성하는 사업을 핵심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김 시장은 취임 후 개최된 전국시도지사협의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만나 울산권 그린벨트 해제를 요청했으며, 부산·울산·경남 예산정책협의회에 참석하거나 국토부 제1차관을 만난 자리에서도 당위성을 강조했다.

지난 1일부터 5일간 휴가 중이던 김 시장은 국토부 관계자 방문 소식을 듣고 3일 현장에 동행, 울산지역 그린벨트 문제점을 설명하고 개선 방안을 건의했다.

김 시장은 "울산은 현대자동차 전기차 공장 관련 부지 등 산업시설 수요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는데도 가용지가 부족한 실정이다"라면서 "2000년대 초 중소도시권 그린벨트 전면 해제 사례와 같은 획기적인 제도 개선 방안을 비롯해 그린벨트 해제 권한 이양, 연담화(인접 도시가 연결돼 거대도시가 형성되는 것) 기준 완화 등 다양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이에 국토부 측은 "울산지역 그린벨트 실태를 알고 싶어 울산을 방문했으며, 돌아가서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겠다"라고 답했다.

한편 최근 원희룡 국토부 장관도 하반기 첫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서 "비수도권은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 개발 부지가 필요하다"라면서 "그린벨트를 포함한 산업입지 지원에 적극적으로 임하자는 공감대가 이번 정부에 형성돼 있으므로 국토부도 노력하겠다"라고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