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속도전에 "내부총질하던 당대표 바뀌니 참 달라져" 비꼬며 반발
용피셜, '용산+오피셜' 추정…尹대통령까지 겨냥한것 아니냐 관측 나와
"모든 난장판의 첫 단계인 초선모임 성명서부터 익명…정리해 공개할 것"
이준석 "'용피셜'하게 비상상태 아냐…복귀 막으려 비상선포"(종합)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는 3일 당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 추진을 위한 속도전에 공개적으로 반발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비상이 아니라고 해서 지난 3주 동안 이준석은 지역을 돌면서 당원 만난 것밖에 없는데 그사이에 끼리끼리 이준석 욕하다가 문자가 카메라에 찍히고 지지율 떨어지니 내놓은 해법은 이준석의 복귀를 막는다는 판단"이라고 썼다.

이어 "당헌당규도 바꾸고 비상 아니라더니 비상을 선포한다.

사퇴한 최고위원이 살아나서 표결을 한다"고 적었다
국민의힘이 '비상 상황'을 이유로 비대위 전환을 추진하며 당헌 개정 등에 나선 상황을 가리킨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 대표는 전국위 의장인 서병수 의원은 이날 오후 비상대책위원회로의 체제 전환을 결정할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각각 오는 5일과 9일에 개최한다고 발표한 이후 이 같은 반응을 보였다.

이 대표는 "오피셜하게 우리 당은 비상 상태가 아니다"라고 썼다가 '오피셜'을 '용피셜'로 고치기도 했다.

이 대표는 그러면서 "내부총질하던 당 대표가 바뀌니 참 달라졌고 참 잘하는 당 아닌가.

계속 이렇게 해야 한다"면서 윤석열 대통령과 권성동 원내대표 간의 텔레그램 문자 노출 사태를 빗대 비꼬기도 했다.

'용피셜'은 '용산+오피셜'을 합한 말이 아니냐는 추정이 나온다.

용산에 있는 대통령실과 더 나아가 윤석열 대통령까지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제기된다.

이 대표는 지난달 29일 당 지도부 체제를 비대위 체제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는 성명서에 이름을 올린 32명의 초선 의원들에 대해서도 날을 세웠다.

이 대표는 이날 저녁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이 모든 난장판의 첫 단계인 초선모임 성명서부터 살펴보니 익명으로 의원들이 참여해서 숫자를 채웠다"며 "익명으로 성명서 만들어서 발표하는 문화는 뭘까요"라고 비판했다.

그는 "목숨이 위협받던 일제시대에 독립선언서도 최소한 다 실명으로 썼다"며 "그리고 실명으로 참여하신 분들도 왜 이름을 공개하지 못하지요? 당에 무책임이 깃들었다"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정리해서 앞으로 모든 내용은 기록으로 남겨 공개하겠다.

곧 필요할 듯해서"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29일 초선의 박수영 의원은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초선 의원 32명의 의견을 담은 성명서를 당 지도부에 전달했다고 밝혔는데, 해당 의원들의 명단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 대표는 성접대 증거인멸 교사 의혹으로 지난달 '당원권 6개월 정지' 중징계를 받고 직무가 정지된 상황이다.

국민의힘이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게 되면 이 대표는 자동으로 해임되면서 향후 복귀도 차단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에 비대위 전환 여부를 결정할 5일 상임전국위 및 9일 전국위를 전후로 이 대표가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