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소맥 9월물 선물 가격은 부셸 당 7달러82센트를 기록했다. 지난 3월 최고점(14달러25센트) 대비 약 45% 급락한 상태다. 옥수수 가격도 지난 4월말 고점(부셸 당 6달러2센트) 대비 약 26% 하락했다. 심은주 하나증권 연구원은 "경기 침체 우려로 국제 유가가 하락하고, 중국 등 신흥국의 경기 부진 우려로 인해 곡물가가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장기적으로 곡물 가격은 하향 안정화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작황이 비교적 안정적인데다 대두, 옥수수 등 곡물 최대 소비국인 중국의 사료 수요도 둔화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중단됐던 흑해 항로를 통한 우크라이나산 곡물 수출도 5개월 만에 재개됐다. 국제 유가도 배럴당 90달러 아래로 떨어진 상태다. 심 연구원은 "올 상반기 곡물가가 치솟았던 이유는 수급 불균형에 있었던 게 아니라 전쟁 등으로 인한 심리적 요인이 컸던만큼 향후 곡물가가 추가로 급등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곡물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면서 이르면 올 4분기부터 음식료 업체들의 본격적인 실적 개선세가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곡물 가격 상승→판매가 인상→곡물 가격 하락→이윤 확대’라는 사이클을 통해서다. 하나증권은 국내 식음료 업체들의 곡물 수입 단가는 3분기 정점을 형성한 뒤 4분기부터 하락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지난해 말부터 식음료 대부분 업체가 원재료 가격 급등을 이유로 판매 가격을 일제히 인상한만큼 올 하반기부터 곡물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하면 내년 이익 마진은 더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8월엔 오뚜기와 농심, 삼양식품이 주요 라면 가격을 각각 11.9%, 6.8%, 6.9%씩 올렸다. 지난 12월엔 롯데칠성음료가 칠성사이다 등의 가격을 6.8%, 지난 2월엔 CJ제일제당이 죽, 두부 등의 가격을 7~10% 인상했다.
경기 둔화, 실적 피크아웃(고점 찍고 하락) 등의 우려로 인해 최근 식음료 업종 주가가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오히려 올 하반기나 내년부터 '10여년만의 음식료 강세장’이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나온다. 차재현 DB금융투자 연구원은 “경기방어적 성격이 강한 음식료 기업은 침체 국면에서도 큰 매출 타격은 없을 것”이라며 “오히려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음식료주가 코스피 지수를 크게 이겼던 것처럼 10년 주기로 나타났던 음식료 업종의 강한 반등세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나증권은 옥수수 등을 원료로 하는 바이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CJ제일제당과 대상, 원가 부담으로 인한 실적 저하 우려가 과도하게 반영된 농심 등을 추천했다. 심 연구원은 "소재 사업부문이 원가 하락의 수혜를 많이 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롯데칠성과 CJ프레시웨이를 탑픽으로 꼽았다. 오지우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롯데칠성은 높은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가격 인상을 추가로 단행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