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액화천연가스(LNG) 비축량이 올겨울 열흘 치 수요량(최고 수요 기준)에도 못 미치는 137만t까지 줄었다는 소식이다. 연내 1000만t가량을 추가로 구하지 못하면 ‘가스 대란’을 맞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LNG는 가정용 도시가스로 이용되는 중추적 생활 연료인 동시에 발전과 산업 분야의 핵심 에너지원이기도 하다. 지난 5월 기준 LNG 발전 비중은 26.3%로, 원자력(31.6%)과 석탄(29.3%)에 버금간다. 원자력과 석탄이 주로 기저부하 전력 생산에 쓰이는 데 비해 LNG는 전력 소모가 많은 시간대에 피크 부하용 발전에 활용된다. LNG 재고가 바닥나면 바로 ‘블랙아웃’(대규모 정전)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당면한 가스 대란 위기는 세계적인 LNG 공급난에 국내 전력 수요 증가가 겹친 탓이다. 하지만 국내 가스 공급을 독점하는 가스공사의 수요 예측 실패를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해에도 LNG 계획 물량과 실제 도입 물량 간 차이를 뜻하는 오차율이 18.7%에 달했다. 이를 메우는 데 최근 4년간 8조9000억원이 들어갔다고 한다. 올해 예측은 더 크게 빗나갔다. 주먹구구식 예측으로 위기를 자초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

LNG 부족 사태는 국가 에너지 안보와 직결된 사안이다. 모든 역량을 동원해 물량 확보에 나서야 최악의 상황을 막을 수 있다. 세계 최대 LNG 수입국인 일본과 중국 모두 우리 인접국인 만큼 이들과 여분의 물량을 주고받는 계약을 맺어 놓는 등 비상 계획도 마련해야 한다. 문제는 가스 공급을 일시에 늘리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러시아가 서방 제재에 반발해 유럽에 대한 가스 공급을 줄이면서 LNG 도입 경쟁이 치열해졌다. LNG 가격도 최근 2년 새 20배 넘게 폭등했다. 한국이 원하는 만큼 물량을 확보할 수 있을지 불확실한 상황이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묶어놓은 석탄발전 상한제를 완화하는 등 다른 발전원 가동을 확대하는 조치가 필요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