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론되는 인물 全無…후임 인선도 난항 겪을 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교육부 어떻게 되나
부처 폐지론 이어 수장 공백
당분간 차관 대행 체제 운영
'식물부처' 전락하나 우려도
부처 폐지론 이어 수장 공백
당분간 차관 대행 체제 운영
'식물부처' 전락하나 우려도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사진)이 8일 전격 사퇴하면서 교육부는 당분간 수장 공백 사태가 불가피해졌다. 후임 인선에도 난항이 예상돼 윤석열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8일 교육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사퇴한 박 부총리의 후임자로 거론되는 인물은 현재까지 전무한 상황이다. 새 정부의 초대 교육부 장관 후보자였던 김인철 전 한국외국어대 총장이 ‘방석집 논문 심사 논란’으로 낙마한 뒤 박 부총리까지 논란 끝에 사퇴하자 윤석열 정부의 후임 인선에 대한 부담은 더욱 커졌다.
박 부총리는 지난달 29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초등학교 입학연령을 만 5세로 1년 낮추는 안을 성급하게 내놔 학부모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여기에 외국어고 폐지 방안까지 “여론 수렴 없이 졸속 추진한다”는 논란을 일으키면서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이미 만취 음주운전, 논문 표절 의혹, 조교 갑질 의혹 등 각종 논란으로 자질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쌓여오던 터였다. 일방적이고 느닷없는 정책 제안이 사퇴의 도화선이 됐다.
새 정부는 교육부 장관 후보자 물색에 상당 기간 난항을 겪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백년대계’를 책임질 교육부 장관은 다른 부처의 수장들보다 더 높은 도덕적 기준을 요구받기 때문에 후보군에 올라 있는 인물은 큰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새 정부 출범 초기 하마평에 올랐던 정철영 서울대 농산업교육과 교수도 입각을 강하게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의 한 대학총장은 “논란이 있긴 했지만 교육계에선 박 부총리나 김 후보자의 자질이 충분하다는 시각이 많았다”며 “그런 분들까지 불명예스럽게 낙마하는 것을 봤기 때문에 아무래도 (교육부 장관 자리에) 나서려는 사람이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장 공백 상황에서 교육부는 당분간 장상윤 차관 대행 체제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교육계에서는 교육부가 새 정부 출범 이전부터 ‘홀대론’ ‘폐지론’에 시달리면서 국정과제 선별 과정에서도 후순위로 밀린 데 이어 이후에도 존재감을 발휘하지 못하는 ‘식물부처’로 전락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8일 교육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사퇴한 박 부총리의 후임자로 거론되는 인물은 현재까지 전무한 상황이다. 새 정부의 초대 교육부 장관 후보자였던 김인철 전 한국외국어대 총장이 ‘방석집 논문 심사 논란’으로 낙마한 뒤 박 부총리까지 논란 끝에 사퇴하자 윤석열 정부의 후임 인선에 대한 부담은 더욱 커졌다.
박 부총리는 지난달 29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초등학교 입학연령을 만 5세로 1년 낮추는 안을 성급하게 내놔 학부모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여기에 외국어고 폐지 방안까지 “여론 수렴 없이 졸속 추진한다”는 논란을 일으키면서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이미 만취 음주운전, 논문 표절 의혹, 조교 갑질 의혹 등 각종 논란으로 자질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쌓여오던 터였다. 일방적이고 느닷없는 정책 제안이 사퇴의 도화선이 됐다.
새 정부는 교육부 장관 후보자 물색에 상당 기간 난항을 겪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백년대계’를 책임질 교육부 장관은 다른 부처의 수장들보다 더 높은 도덕적 기준을 요구받기 때문에 후보군에 올라 있는 인물은 큰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새 정부 출범 초기 하마평에 올랐던 정철영 서울대 농산업교육과 교수도 입각을 강하게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의 한 대학총장은 “논란이 있긴 했지만 교육계에선 박 부총리나 김 후보자의 자질이 충분하다는 시각이 많았다”며 “그런 분들까지 불명예스럽게 낙마하는 것을 봤기 때문에 아무래도 (교육부 장관 자리에) 나서려는 사람이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장 공백 상황에서 교육부는 당분간 장상윤 차관 대행 체제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교육계에서는 교육부가 새 정부 출범 이전부터 ‘홀대론’ ‘폐지론’에 시달리면서 국정과제 선별 과정에서도 후순위로 밀린 데 이어 이후에도 존재감을 발휘하지 못하는 ‘식물부처’로 전락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