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굴기' 차질에 시진핑 노했나…中, 3400억위안 펀드 핵심인사 소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운용사 대표 등 3명 불려가
8년간 막대한 자금 투입했지만
먹튀 논란 등 투자 성과 부진
8년간 막대한 자금 투입했지만
먹튀 논란 등 투자 성과 부진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뒷받침하는 핵심 수단인 국가반도체펀드의 핵심 인사들이 줄줄이 사정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다. 미국의 중국에 대한 반도체 압박이 거세지는 가운데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한 펀드에 대한 지도부의 분노가 거세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0일 경제매체 차이신 등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사정기구인 중앙기율검사위원회(기율위)는 전날 국유기업 화신투자의 두양 전 총감 등 전·현직 고위관계자 3명을 당 기율 및 위법 혐의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화신투자는 중국에서 ‘대기금’을 불리는 국가반도체산업투자펀드의 운용을 전담하는 국유기업이다. 중국은 2014년 1차 1390억위안, 2019년 2차 2040억위안 규모의 대기금을 조성했다. 자금 조성과 중요한 전략적 판단은 대기금이, 일상적 자금 집행 업무는 화신투자가 맡는 구조다.
기율위는 앞서 지난달에도 대기금의 딩원우 총재, 화신투자의 루 전 총재 등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대기금과의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반도체 등 국가 산업정책을 총괄하는 공업정보화부의 샤오아칭 현 장관도 기율위 조사를 받고 있다.
중국은 ‘2025년 반도체 자급률 70%’를 내걸고 반도체 산업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했다. 하지만 변변한 기술도 없이 정부 자금을 따내는 ‘먹튀’가 속출했다.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국내 소비량 대비 생산량)은 16.7%에 그쳤다.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이번 대규모 사정이 부패와 비효율로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한 대기금에 대해 중국 지도부가 분노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미·중 기술패권 전쟁에서 밀리고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한편 중국 인터넷 감독기구인 인터넷정보판공실(CAC)은 암호화폐와 관련한 1만2000여 개 계정을 폐쇄하도록 소셜미디어 기업들에 명령했다. 5만1000여 개의 관련 게시판도 삭제했다. ‘금융 혁신과 블록체인’ 등을 내걸어 암호화폐 투자 방법을 안내하는 계정이 주요 타깃이 됐다. 중국은 지난해 암호화폐 서비스 금지령을 내리는 등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10일 경제매체 차이신 등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사정기구인 중앙기율검사위원회(기율위)는 전날 국유기업 화신투자의 두양 전 총감 등 전·현직 고위관계자 3명을 당 기율 및 위법 혐의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화신투자는 중국에서 ‘대기금’을 불리는 국가반도체산업투자펀드의 운용을 전담하는 국유기업이다. 중국은 2014년 1차 1390억위안, 2019년 2차 2040억위안 규모의 대기금을 조성했다. 자금 조성과 중요한 전략적 판단은 대기금이, 일상적 자금 집행 업무는 화신투자가 맡는 구조다.
기율위는 앞서 지난달에도 대기금의 딩원우 총재, 화신투자의 루 전 총재 등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대기금과의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반도체 등 국가 산업정책을 총괄하는 공업정보화부의 샤오아칭 현 장관도 기율위 조사를 받고 있다.
중국은 ‘2025년 반도체 자급률 70%’를 내걸고 반도체 산업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했다. 하지만 변변한 기술도 없이 정부 자금을 따내는 ‘먹튀’가 속출했다.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국내 소비량 대비 생산량)은 16.7%에 그쳤다.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이번 대규모 사정이 부패와 비효율로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한 대기금에 대해 중국 지도부가 분노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미·중 기술패권 전쟁에서 밀리고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한편 중국 인터넷 감독기구인 인터넷정보판공실(CAC)은 암호화폐와 관련한 1만2000여 개 계정을 폐쇄하도록 소셜미디어 기업들에 명령했다. 5만1000여 개의 관련 게시판도 삭제했다. ‘금융 혁신과 블록체인’ 등을 내걸어 암호화폐 투자 방법을 안내하는 계정이 주요 타깃이 됐다. 중국은 지난해 암호화폐 서비스 금지령을 내리는 등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