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가려면 연차 써야할 판"…불만 폭주한 직장인들 [채선희의 금융꼬투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거리두기 해제에도 영업시간 그대로
금융소비자들 불편·불만 가중
노조는 임금 6.1% 인상·주 36시간 요구
금융소비자들 불편·불만 가중
노조는 임금 6.1% 인상·주 36시간 요구
"반차 쓰고 은행 갔는데 업무 보다가 돌아왔어요. 바쁜데 눈치 보여서 내일 다시 가려구요." "예금 해약하고 다시 들려고 했는데 문 닫을 시간이 돼서 그냥 일어났어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은행 영업시간이 1시간 단축돼 금융소비자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모두 해제되었음에도 은행 문은 여전히 오전 9시30분에 열려 오후 3시30분이면 닫습니다. 점심시간마저 빠듯한 직장인들은 은행 상담 받으려면 연·월차 써야 한다는 말이 더 이상 농담이 아닌 일이 되어버렸습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권 노사는 지난해 코로나19 방역지침이 해제되어도 교섭을 통해서만 영업시간 단축을 조정할 수 있다고 못박았습니다. 이 때문에 거리두기가 해제되어도 은행들은 단축된 영업시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은행들은 영업시간 단축으로 수백억원의 비용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반면 금융소비자들의 불편함과 이에 따른 사회적인 비용은 큽니다. 은행들은 비대면 거래 확산을 이유로 영업점을 줄여왔습니다. 하지만 대출, 금융상품 가입 및 상담 등 일부 여수신 업무에선 여전히 대면 거래를 필요로 합니다. 이에 금융소비자들은 집에서 혹은 직장에서 더 멀어진 영업점을 찾아가야 하는 번거로움에 더해 빠듯해진 업무 시간을 감수해야 합니다.
이 와중에 시중은행 노동조합이 속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은 다음달 16일부터 총파업을 단행한다고 합니다. 성과연봉제 등에 반발해 총파업을 벌인 지 6년 만입니다. 금융노조엔 시중은행과 산업은행 등 국책은행, 금융공기업 노조원 10만명이 소속돼 있습니다. 금융노조는 올해 임금 6.1% 인상과 주 36시간(4.5일) 근무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시30분 마감이 고착화되고 주 4일제까지 진행된다면 은행 모든 업무를 온라인으로 거래할 수 있게 풀어주시든지요." "은행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하면 모든 업종이 주 4일제가 된 이후 마지막으로 시행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총파업을 벌이려는 금융노조 행위에 대한 비판은 점점 거세지고 있습니다. 물론 누구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누리고 싶어하고, 문을 닫더라도 마감 등으로 늦게 퇴근하는 직원들의 입장은 이해가 갑니다. 다만 주요 시중은행 직원의 지난해 평균 연봉이 1억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코로나19 재확산, 고물가, 고금리로 고통받는 금융소비자들의 시선은 곱지 않을 수 밖에 없습니다.
더 아쉬운 건 사측도 금융당국도 은행 영업시간을 정상으로 복귀하는 데에 큰 관심이 없어 보인다는 점입니다. 개별 은행들은 금융노조와 사용자 단체 간의 합의니 관여하기 어렵다는 입장이고, 금융당국은 뒷짐만 지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앞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잘 이행될 수 있도록 은행권에 여러 번 협조를 부탁했습니다. 다시 거리두기가 해제된 상황에서 은행 영업시간 정상화를 유도하는 것이 순서로 보이지만, "법령 등 제재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손을 놓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금융소비자들을 위한 다양한 정책 지원도 좋지만 실제 금융생활을 누리는 데 발생하는 불편을 완화해주기 위한 노력도 당국의 역할 아닐까요.
일각에선 근무 강도를 완화하려는 노조와 비용을 줄이고 싶은 사측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단축 영업이 고착화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연이은 횡령 사건으로 금융산업에 대한 신뢰가 바닥으로 떨어졌습니다. 노조와 사측 모두 금융소비자를 위하는 노력을 진정성 있게 보여주기를 기대해봅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은행 영업시간이 1시간 단축돼 금융소비자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모두 해제되었음에도 은행 문은 여전히 오전 9시30분에 열려 오후 3시30분이면 닫습니다. 점심시간마저 빠듯한 직장인들은 은행 상담 받으려면 연·월차 써야 한다는 말이 더 이상 농담이 아닌 일이 되어버렸습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권 노사는 지난해 코로나19 방역지침이 해제되어도 교섭을 통해서만 영업시간 단축을 조정할 수 있다고 못박았습니다. 이 때문에 거리두기가 해제되어도 은행들은 단축된 영업시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은행들은 영업시간 단축으로 수백억원의 비용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반면 금융소비자들의 불편함과 이에 따른 사회적인 비용은 큽니다. 은행들은 비대면 거래 확산을 이유로 영업점을 줄여왔습니다. 하지만 대출, 금융상품 가입 및 상담 등 일부 여수신 업무에선 여전히 대면 거래를 필요로 합니다. 이에 금융소비자들은 집에서 혹은 직장에서 더 멀어진 영업점을 찾아가야 하는 번거로움에 더해 빠듯해진 업무 시간을 감수해야 합니다.
이 와중에 시중은행 노동조합이 속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은 다음달 16일부터 총파업을 단행한다고 합니다. 성과연봉제 등에 반발해 총파업을 벌인 지 6년 만입니다. 금융노조엔 시중은행과 산업은행 등 국책은행, 금융공기업 노조원 10만명이 소속돼 있습니다. 금융노조는 올해 임금 6.1% 인상과 주 36시간(4.5일) 근무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시30분 마감이 고착화되고 주 4일제까지 진행된다면 은행 모든 업무를 온라인으로 거래할 수 있게 풀어주시든지요." "은행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하면 모든 업종이 주 4일제가 된 이후 마지막으로 시행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총파업을 벌이려는 금융노조 행위에 대한 비판은 점점 거세지고 있습니다. 물론 누구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누리고 싶어하고, 문을 닫더라도 마감 등으로 늦게 퇴근하는 직원들의 입장은 이해가 갑니다. 다만 주요 시중은행 직원의 지난해 평균 연봉이 1억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코로나19 재확산, 고물가, 고금리로 고통받는 금융소비자들의 시선은 곱지 않을 수 밖에 없습니다.
더 아쉬운 건 사측도 금융당국도 은행 영업시간을 정상으로 복귀하는 데에 큰 관심이 없어 보인다는 점입니다. 개별 은행들은 금융노조와 사용자 단체 간의 합의니 관여하기 어렵다는 입장이고, 금융당국은 뒷짐만 지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앞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잘 이행될 수 있도록 은행권에 여러 번 협조를 부탁했습니다. 다시 거리두기가 해제된 상황에서 은행 영업시간 정상화를 유도하는 것이 순서로 보이지만, "법령 등 제재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손을 놓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금융소비자들을 위한 다양한 정책 지원도 좋지만 실제 금융생활을 누리는 데 발생하는 불편을 완화해주기 위한 노력도 당국의 역할 아닐까요.
일각에선 근무 강도를 완화하려는 노조와 비용을 줄이고 싶은 사측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단축 영업이 고착화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연이은 횡령 사건으로 금융산업에 대한 신뢰가 바닥으로 떨어졌습니다. 노조와 사측 모두 금융소비자를 위하는 노력을 진정성 있게 보여주기를 기대해봅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