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주말 비대위 인선 마무리"…전대 시기는 여전히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권성동·성일종 당연직 참여 유력
당내 "권 대표 재신임 절차 필요"
전대 시점 놓고 당권주자 이견
김기현 "野는 8월 지도부 선출
비대위론 효과적 대응 어려워"
당내 "권 대표 재신임 절차 필요"
전대 시점 놓고 당권주자 이견
김기현 "野는 8월 지도부 선출
비대위론 효과적 대응 어려워"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비대위원 인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째인 17일 전에는 정식으로 비대위를 발족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전당대회 시점에 대한 당내 당권주자 간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어 또 다른 갈등이 예상된다.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주 위원장은 이르면 주말 내 비대위원 인선 작업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다음주 초 비대위원 임명을 위한 상임전국위원회를 여는 것이 목표다. 비대위는 주 위원장을 포함해 총 9명으로 꾸려진다.
권성동 원내대표와 성일종 정책위원회 의장은 당헌·당규에 따라 당연직으로 비대위 참여가 유력하다. 하지만 당내에선 “비대위 체제로 전환한 데 책임있는 지도부가 다시 비대위에 참여하는 게 옳은 일인가. 권 원내대표에 대한 재신임을 묻는 절차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안철수 의원은 지난 10일 “권 원내대표가 스스로 재신임을 묻고, 의총에서 결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나머지 6명의 비대위원 인선도 관심사다. 계파 색채가 강한 인사는 최대한 배제하고, 여성·청년을 발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원내에서는 당내 의석의 과반을 차지하는 초·재선 그룹이 우선 안배될 것으로 예상된다. 초선 그룹에서는 정희용 의원을 비롯해 6·1 국회의원 보궐선거를 통해 국회에 입성한 조은희 의원 등이 거론된다. 재선 그룹에서는 주 위원장의 원내대표 시절 원내수석부대표를 맡았던 김성원 의원과 여성인 김정재 의원, 재선모임 간사인 정점식 의원 등이 후보군으로 꼽힌다. 원외 인사로는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인 윤희숙 전 의원이 물망에 오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가 본격 출범하더라도 전당대회 시기가 논란이 될 전망이다. 주 위원장과 권 원내대표는 내년 초 전당대회에 무게를 두고 있다. 내년 4월이 임기인 권 원내대표가 내년 초 자리에서 물러나 당권에 도전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반면 차기 당권주자를 중심으로 9월 말~10월 초 조기 전당대회 개최 목소리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김기현 의원은 한국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8월 말 야당은 전당대회를 마치고 강성 지도부를 꾸려 전면전에 나설 예정”이라며 “야당이 ‘방사포(다연장 로켓포)’를 쏘아대는데 우리는 정통성에 취약점이 있는 비대위 체제로 ‘단발포’만 쏘아댄다면 얼마나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윤심(尹心·윤석열 대통령 의중)이 드러날 때까지는 전대시기를 둘러싼 갈등이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대통령실도 하루빨리 당내 혼란이 수습되길 원할 텐데 그러면 아무래도 조기 전대를 원하지 않겠느냐”며 “권 원내대표, 주 위원장의 생각과 대통령실 입장이 다른 것 같다”고 말했다.
고재연/양길성 기자 yeon@hankyung.com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주 위원장은 이르면 주말 내 비대위원 인선 작업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다음주 초 비대위원 임명을 위한 상임전국위원회를 여는 것이 목표다. 비대위는 주 위원장을 포함해 총 9명으로 꾸려진다.
권성동 원내대표와 성일종 정책위원회 의장은 당헌·당규에 따라 당연직으로 비대위 참여가 유력하다. 하지만 당내에선 “비대위 체제로 전환한 데 책임있는 지도부가 다시 비대위에 참여하는 게 옳은 일인가. 권 원내대표에 대한 재신임을 묻는 절차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안철수 의원은 지난 10일 “권 원내대표가 스스로 재신임을 묻고, 의총에서 결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나머지 6명의 비대위원 인선도 관심사다. 계파 색채가 강한 인사는 최대한 배제하고, 여성·청년을 발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원내에서는 당내 의석의 과반을 차지하는 초·재선 그룹이 우선 안배될 것으로 예상된다. 초선 그룹에서는 정희용 의원을 비롯해 6·1 국회의원 보궐선거를 통해 국회에 입성한 조은희 의원 등이 거론된다. 재선 그룹에서는 주 위원장의 원내대표 시절 원내수석부대표를 맡았던 김성원 의원과 여성인 김정재 의원, 재선모임 간사인 정점식 의원 등이 후보군으로 꼽힌다. 원외 인사로는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인 윤희숙 전 의원이 물망에 오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가 본격 출범하더라도 전당대회 시기가 논란이 될 전망이다. 주 위원장과 권 원내대표는 내년 초 전당대회에 무게를 두고 있다. 내년 4월이 임기인 권 원내대표가 내년 초 자리에서 물러나 당권에 도전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반면 차기 당권주자를 중심으로 9월 말~10월 초 조기 전당대회 개최 목소리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김기현 의원은 한국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8월 말 야당은 전당대회를 마치고 강성 지도부를 꾸려 전면전에 나설 예정”이라며 “야당이 ‘방사포(다연장 로켓포)’를 쏘아대는데 우리는 정통성에 취약점이 있는 비대위 체제로 ‘단발포’만 쏘아댄다면 얼마나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윤심(尹心·윤석열 대통령 의중)이 드러날 때까지는 전대시기를 둘러싼 갈등이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대통령실도 하루빨리 당내 혼란이 수습되길 원할 텐데 그러면 아무래도 조기 전대를 원하지 않겠느냐”며 “권 원내대표, 주 위원장의 생각과 대통령실 입장이 다른 것 같다”고 말했다.
고재연/양길성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