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복날'은 왜 절기에 끼이지 못했을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초복·중복·말복 등 삼복은 한여름 불볕더위를 슬기롭게 넘기자는 뜻에서 만들어진 날인데, 이를 절기와 별개로 속절(俗節)이라고 부른다.
한여름 맹위를 떨치던 무더위도 이제 끝자락에 접어들었다. 절기상으론 이미 입추(8월 7일)를 지나 처서(8월 23일)를 앞두고 있으니 가을로 들어선 셈이다. 처서는 ‘곳 처(處), 더울 서(暑)’다. ‘더위가 머무르다, 그치다’란 뜻에서 생긴 이름이다. 끝났나 싶던 올여름 장마도 지난주 다시 찾아와 ‘물폭탄’을 쏟아부었다. 이렇게 제철이 지난 뒤에 지는 장마를 ‘늦장마’라고 한다.
올해는 예년보다 더위가 길어질 것이란 게 기상청 전망이다. 오는 8월 15일이 제77주년 광복절이자 말복이다. 둘 다 우리 기념일이지만 내용은 많이 다르다. 광복절은 국경일이자 공휴일이지만, 말복은 국가기념일도 아니고 명절도 아니다. 그렇다고 농사일에 기준으로 삼던 절기도 아니다. 날짜도 매년 달라진다. 초복·중복·말복 등 삼복은 한여름 불볕더위를 슬기롭게 넘기자는 뜻에서 만들어진 날인데, 이를 절기와 별개로 ‘속절(俗節)’이라고 부른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매년 여름 이듬해 24절기와 명절, 공휴일, 기념일 등 달력 제작 기준을 정해 발표한다.
삼복 날짜는 음력이 아니라 양력으로 정해진다는 점도 알아둘 만하다. 날짜 역시 고정된 게 아니라 그해 24절기와 일진에 따라 정해진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몇 가지 우리말 용어를 알아야 한다. 우선 24절기는 황도상에 그려지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정해지는 계절 구별법이다. 이때 ‘황도(황도)’란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이 움직이는 궤적을 천구(天球)에 그려 넣은 것을 말한다. 실제로는 지구가 돌지만 눈으로는 태양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데, 그 움직임을 가상의 구체(球體)에 투영했다고 보면 된다. 밤하늘의 달이나 별의 움직임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그 태양의 궤도를 24개로 나눠 연간 계절 변화의 기준으로 삼은 게 ‘절기’다. 절기 날짜가 해마다 조금씩 달라지기도 하는 까닭은 궤도상 태양의 위치로 그것을 정하기 때문이다. 천구의 가운데 적도면을 기준으로 황도는 약 23도 기울어져 있다. 이는 지구가 태양을 기준으로 약 23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자전과 공전을 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이런 기울기로 인해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에 따라 지구촌의 낮과 밤 길이가 달라지고 계절의 변화가 일어난다.
절기에 따라 삼복도 정해진다. 가령 말복은 입추(立秋)로부터 첫 번째 경일로 잡는다. ‘경일(庚日)’은 육십갑자, 즉 ‘갑자 을축 … 임술 계해’ 등 총 60개의 간지(干支) 중에서 ‘경’ 자가 들 어가는 날을 말한다. 경오, 경진, 경인, 경자, 경술, 경신 등 6개가 있다.
간지란 십간(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과 십이지(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를 순차적으로 배합한 것을 말하는데, 이를 날짜에 적용한 게 ‘일진(日辰)’이다. 흔히 “오늘은 일진이 안 좋아” “일진이 사납다”라고 할 때 이 말을 쓴다. 그날의 운세를 뜻한다. 60개의 간지가 한 바퀴 돌면 곧 환갑(還甲)이다. 이는 육십갑자의 ‘갑(甲)’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만으로는 예순이며 한국식 나이인 ‘세는나이’로 치면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이다.
삼복은 한여름 무더위 조심하라 정한 날
언론에선 이와 함께 지각장마니 2차장마니 가을장마니 하는 말로 그즈음 날씨를 전했다. 이 가운데 공식적으로 ‘족보’가 있는 말, 즉 사전에 오른 단어는 ‘늦장마’와 ‘가을장마’뿐이다. 나머지는 아직 단어라고 할 수 없는, 임의적 표현인 셈이다.올해는 예년보다 더위가 길어질 것이란 게 기상청 전망이다. 오는 8월 15일이 제77주년 광복절이자 말복이다. 둘 다 우리 기념일이지만 내용은 많이 다르다. 광복절은 국경일이자 공휴일이지만, 말복은 국가기념일도 아니고 명절도 아니다. 그렇다고 농사일에 기준으로 삼던 절기도 아니다. 날짜도 매년 달라진다. 초복·중복·말복 등 삼복은 한여름 불볕더위를 슬기롭게 넘기자는 뜻에서 만들어진 날인데, 이를 절기와 별개로 ‘속절(俗節)’이라고 부른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매년 여름 이듬해 24절기와 명절, 공휴일, 기념일 등 달력 제작 기준을 정해 발표한다.
‘절기’는 계절의 변화 기준으로 삼던 날
절기(節氣)란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눠 계절의 표준으로 삼은 날을 말한다. 속절은 1년 중 시기마다 특별한 의미를 담아 일상생활을 비롯해 제사일, 국가의 공적인 행사, 공휴일 등으로 활용하는 날이다(<한국민속대백과사전>). 설과 추석을 비롯해 정월 대보름, 한식, 단오, 동지 등이 속절인데, 이들은 따로 ‘명절’이라 이른다. 이 중 ‘동지(冬至)’는 명절이면서 절기에 속하기도 한다.삼복 날짜는 음력이 아니라 양력으로 정해진다는 점도 알아둘 만하다. 날짜 역시 고정된 게 아니라 그해 24절기와 일진에 따라 정해진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몇 가지 우리말 용어를 알아야 한다. 우선 24절기는 황도상에 그려지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정해지는 계절 구별법이다. 이때 ‘황도(황도)’란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이 움직이는 궤적을 천구(天球)에 그려 넣은 것을 말한다. 실제로는 지구가 돌지만 눈으로는 태양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데, 그 움직임을 가상의 구체(球體)에 투영했다고 보면 된다. 밤하늘의 달이나 별의 움직임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그 태양의 궤도를 24개로 나눠 연간 계절 변화의 기준으로 삼은 게 ‘절기’다. 절기 날짜가 해마다 조금씩 달라지기도 하는 까닭은 궤도상 태양의 위치로 그것을 정하기 때문이다. 천구의 가운데 적도면을 기준으로 황도는 약 23도 기울어져 있다. 이는 지구가 태양을 기준으로 약 23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자전과 공전을 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이런 기울기로 인해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에 따라 지구촌의 낮과 밤 길이가 달라지고 계절의 변화가 일어난다.
절기에 따라 삼복도 정해진다. 가령 말복은 입추(立秋)로부터 첫 번째 경일로 잡는다. ‘경일(庚日)’은 육십갑자, 즉 ‘갑자 을축 … 임술 계해’ 등 총 60개의 간지(干支) 중에서 ‘경’ 자가 들 어가는 날을 말한다. 경오, 경진, 경인, 경자, 경술, 경신 등 6개가 있다.
간지란 십간(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과 십이지(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를 순차적으로 배합한 것을 말하는데, 이를 날짜에 적용한 게 ‘일진(日辰)’이다. 흔히 “오늘은 일진이 안 좋아” “일진이 사납다”라고 할 때 이 말을 쓴다. 그날의 운세를 뜻한다. 60개의 간지가 한 바퀴 돌면 곧 환갑(還甲)이다. 이는 육십갑자의 ‘갑(甲)’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만으로는 예순이며 한국식 나이인 ‘세는나이’로 치면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