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매력없네"…외국인 비중 30%, 금융 위기후 최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9년 8월 이후 최저치로 쪼그라들었다. 원·달러 환율이 1300원을 넘어서고 국내 기업의 실적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외국인이 올 들어 국내 주식을 대량 순매도한 영향이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이 보유한 유가증권시장 주식 시가총액은 606조1910억원(11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유가증권시장 시총(1986조8150억원)의 30.51% 수준이다. 2009년 8월 13일(30.52%) 이후 13년 만에 가장 낮다. 작년 초까지만 해도 외국인 지분율은 36~37%대에서 움직였다.
외국인은 2020년 이후 유가증권시장에서 총 62조3153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올해 전체로는 12조1490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 한 달 동안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1319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이달 들어서도 1조7063억원어치를 사들였다. 그럼에도 외국인 지분율은 1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삼성전자 등 외국인이 대량 보유한 주식이 코스피지수 대비 부진했기 때문이다.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주식 잔액에서 삼성전자 비중은 약 28%로 추정된다. 삼성전자가 국내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약 15%)보다 높다. 코스피지수는 최근 한 달 동안 8.45% 반등했지만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0.33% 오르는 데 그쳤다.
외국인이 올 들어 국내 주식을 대거 판 이유는 달러 강세, 유동성 감소, 기업 실적 악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원·달러 환율은 연초 1193원에서 지난 12일 1301원30전까지 치솟았다. 통상 달러 강세는 신흥국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최근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자 최근 한 달 동안 외국인 수급은 매수세로 전환했다.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은 모두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향후 외국인 수급 방향도 인플레이션에 의해 좌지우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외국인 수급을 두고 증권가 전망은 엇갈린다. 먼저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통과하고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하면서 환율이 안정을 되찾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봉쇄 등 물가를 끌어올린 근본적인 원인이 해소되지 않은 만큼 다시 인플레이션이 심화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일각에선 최근 외국인의 매수세가 쇼트커버링에 불과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쇼트커버링이란 공매도한 주식을 되갚기 위해 매수하는 것을 말한다. 증시 반등 시점에서는 공매도 포지션이 손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쇼트커버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유가증권시장 공매도 잔액은 지난달 21일 11조5136억원에서 지난 10일 10조9779억원으로 감소했다. 외국인의 공매도 거래 비중이 70%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대부분 외국인의 쇼트커버링 물량으로 해석된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이 보유한 유가증권시장 주식 시가총액은 606조1910억원(11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유가증권시장 시총(1986조8150억원)의 30.51% 수준이다. 2009년 8월 13일(30.52%) 이후 13년 만에 가장 낮다. 작년 초까지만 해도 외국인 지분율은 36~37%대에서 움직였다.
외국인은 2020년 이후 유가증권시장에서 총 62조3153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올해 전체로는 12조1490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 한 달 동안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1319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이달 들어서도 1조7063억원어치를 사들였다. 그럼에도 외국인 지분율은 1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삼성전자 등 외국인이 대량 보유한 주식이 코스피지수 대비 부진했기 때문이다.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주식 잔액에서 삼성전자 비중은 약 28%로 추정된다. 삼성전자가 국내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약 15%)보다 높다. 코스피지수는 최근 한 달 동안 8.45% 반등했지만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0.33% 오르는 데 그쳤다.
외국인이 올 들어 국내 주식을 대거 판 이유는 달러 강세, 유동성 감소, 기업 실적 악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원·달러 환율은 연초 1193원에서 지난 12일 1301원30전까지 치솟았다. 통상 달러 강세는 신흥국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외국인, 7월엔 순매수로 전환했지만…"본격 매수" vs "쇼트커버링" 분분
반도체 등 국내 주력 산업의 업황 둔화 우려도 외국인의 매도 심리를 자극했다. 외국인은 올 들어 삼성전자를 8조7085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은 연초 52%대에서 최근 49%대까지 내려왔다. 메모리 반도체와 스마트폰 수요가 크게 꺾이면서 이 회사의 내년 연간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올초 66조1308억원에서 50조1443억원으로 24.2% 하향 조정됐다.최근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자 최근 한 달 동안 외국인 수급은 매수세로 전환했다.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은 모두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향후 외국인 수급 방향도 인플레이션에 의해 좌지우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외국인 수급을 두고 증권가 전망은 엇갈린다. 먼저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통과하고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하면서 환율이 안정을 되찾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봉쇄 등 물가를 끌어올린 근본적인 원인이 해소되지 않은 만큼 다시 인플레이션이 심화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일각에선 최근 외국인의 매수세가 쇼트커버링에 불과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쇼트커버링이란 공매도한 주식을 되갚기 위해 매수하는 것을 말한다. 증시 반등 시점에서는 공매도 포지션이 손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쇼트커버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유가증권시장 공매도 잔액은 지난달 21일 11조5136억원에서 지난 10일 10조9779억원으로 감소했다. 외국인의 공매도 거래 비중이 70%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대부분 외국인의 쇼트커버링 물량으로 해석된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