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현 국민의힘 의원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02.28614926.1.jpg)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은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된 패널 약 100만명의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올 1분기 말 가계대출 차주 중 다중채무자는 22.4%였다. 이는 지난해 말(22.1%)보다 0.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2년 이후 최고 기록이다. 지난해 말 전체 차주 수가 1989만4000명인 걸 고려하면 약 445만6000명이 다중채무자로 추산된다
연령별로 보면 40대가 보유한 대출이 전체 대출 잔액의 32.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50대 28.0%, 30대 이하 26.8%, 60대 이상 12.6% 순이었다. 40대 비중은 지난해 말보다 1.1%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30대 이하는 같은 기간 0.6%포인트, 50대는 0.2%포인트 증가했다.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01.30927576.1.jpg)
업권별로는 저축은행의 1분기 말 대출 잔액의 76.8%, 차주 수 기준으로는 69.0%가 다중채무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보다 대출 잔액은 0.9%포인트, 차주 수는 1.5%포인트 비중이 늘었다.
시중은행의 다중채무자 비율은 대출 잔액 기준으로 27.6%, 차주 수 기준으로 25.4%였다. 비중은 지난해 말보다 0.2%포인트 늘었지만, 잔액은 0.3%포인트 감소했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다중 채무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자영업자·저소득층이 늘고 있다"며 "이대로 방치하면 금융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이런 취약 차주들의 고금리 대출을 재조정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