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있는 5명 중 1명은 3곳 이상서 대출…40대가 가장 많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다중채무자, 2012년 이후 최고치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
금융권에 빚을 진 채무자 5명 가운데 1명은 3개 이상 금융회사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다중채무자 비중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은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된 패널 약 100만명의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올 1분기 말 가계대출 차주 중 다중채무자는 22.4%였다. 이는 지난해 말(22.1%)보다 0.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2년 이후 최고 기록이다. 지난해 말 전체 차주 수가 1989만4000명인 걸 고려하면 약 445만6000명이 다중채무자로 추산된다
연령별로 보면 40대가 보유한 대출이 전체 대출 잔액의 32.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50대 28.0%, 30대 이하 26.8%, 60대 이상 12.6% 순이었다. 40대 비중은 지난해 말보다 1.1%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30대 이하는 같은 기간 0.6%포인트, 50대는 0.2%포인트 증가했다. 소득 수준으로는 상위 30%인 고소득자가 65.6%로 가장 많았다. 이는 지난해 말보다는 0.3%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소득 상위 30% 미만~70%인 중소득자는 25%로 나타났다. 나머지 저소득자는 9.4%였다. 중소득자와 저소득자 비중은 이 기간 각각 0.2%포인트, 0.1%포인트 늘었다.
업권별로는 저축은행의 1분기 말 대출 잔액의 76.8%, 차주 수 기준으로는 69.0%가 다중채무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보다 대출 잔액은 0.9%포인트, 차주 수는 1.5%포인트 비중이 늘었다.
시중은행의 다중채무자 비율은 대출 잔액 기준으로 27.6%, 차주 수 기준으로 25.4%였다. 비중은 지난해 말보다 0.2%포인트 늘었지만, 잔액은 0.3%포인트 감소했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다중 채무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자영업자·저소득층이 늘고 있다"며 "이대로 방치하면 금융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이런 취약 차주들의 고금리 대출을 재조정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은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된 패널 약 100만명의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올 1분기 말 가계대출 차주 중 다중채무자는 22.4%였다. 이는 지난해 말(22.1%)보다 0.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2년 이후 최고 기록이다. 지난해 말 전체 차주 수가 1989만4000명인 걸 고려하면 약 445만6000명이 다중채무자로 추산된다
연령별로 보면 40대가 보유한 대출이 전체 대출 잔액의 32.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50대 28.0%, 30대 이하 26.8%, 60대 이상 12.6% 순이었다. 40대 비중은 지난해 말보다 1.1%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30대 이하는 같은 기간 0.6%포인트, 50대는 0.2%포인트 증가했다. 소득 수준으로는 상위 30%인 고소득자가 65.6%로 가장 많았다. 이는 지난해 말보다는 0.3%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소득 상위 30% 미만~70%인 중소득자는 25%로 나타났다. 나머지 저소득자는 9.4%였다. 중소득자와 저소득자 비중은 이 기간 각각 0.2%포인트, 0.1%포인트 늘었다.
업권별로는 저축은행의 1분기 말 대출 잔액의 76.8%, 차주 수 기준으로는 69.0%가 다중채무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보다 대출 잔액은 0.9%포인트, 차주 수는 1.5%포인트 비중이 늘었다.
시중은행의 다중채무자 비율은 대출 잔액 기준으로 27.6%, 차주 수 기준으로 25.4%였다. 비중은 지난해 말보다 0.2%포인트 늘었지만, 잔액은 0.3%포인트 감소했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다중 채무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자영업자·저소득층이 늘고 있다"며 "이대로 방치하면 금융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이런 취약 차주들의 고금리 대출을 재조정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