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존 리 전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강방천 전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 등) 현재 드러난 자산운용사 외에도 그럴 여지가 있는 곳이 한두 군데 더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사진)이 16일 취임 두 달을 맞아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열고 최근 ‘동학개미 멘토’들의 차명투자 의혹 논란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시중은행에 비해 운용사 숫자가 많고 다양해 구조상 (불법 차명투자) 여지가 큰 게 사실”이라며 “근거가 있어 걱정되는 한두 곳 정도가 더 있지만 일단 자산운용사 전반에 걸쳐 조사를 확대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일부 증권사의 불법 공매도 의혹에 대해서도 실태 점검 및 검사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약간 이상했던 게 ‘공매도가 왜 특정 증권사 보유 주식 내지는 특정 창구를 통해 주문이 몰리는지’였다”며 “공매도가 집중된 기관에 대한 실태 점검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거래소에서 이미 수십 건 이상의 불법 공매도 사건을 금감원에 이첩했다며 “쌓여 있는 (이첩) 건에 대해 신속하게 처리할 것”이라고 했다.

내부 직원의 수백억원대 횡령 및 8조원이 넘는 ‘이상 외화 송금’ 등 시중은행 금융 사고에 대해 최고경영자(CEO)를 제재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 원장은 “제재의 범위나 대상이 정해진 게 없다”며 “상식적으로 수긍 가능한 내용이 아니라면 금융회사 CEO에게 바로 책임을 묻는 것에 대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대원칙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금융 소비자나 사고 피해자 입장에선 하얀 고양이건 까만 고양이건 쥐를 잡는 게 (중요하다)”며 “금감원이 시장 교란 행위 엄단에 대해 무슨 공을 차지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고 했다. 금융권과 법조계에선 금감원이 최근 에디슨모터스의 주가조작 의혹 사건을 검찰에 ‘패스트트랙’으로 넘겼듯이 앞으로 자본시장 사건을 신속히 검찰에 이첩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