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반발…카카오모빌리티 매각 결국 철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카카오, MBK와 협상 중단
골목상권 침해 논란에 매각 추진
노조 등 반대에 두달 만에 '백기'
투자자 자금 회수 약속한 카카오
다시 IPO 도전해야 하는 숙제
골목상권 침해 논란에 매각 추진
노조 등 반대에 두달 만에 '백기'
투자자 자금 회수 약속한 카카오
다시 IPO 도전해야 하는 숙제
카카오가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에 카카오택시 등을 운영하는 자회사 카카오모빌리티의 지분 일부를 팔려다 중단했다. 노조를 포함한 내부 구성원의 반발에 백기를 들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15년 택시 호출 서비스 카카오택시를 시작으로 대리운전, 주차 등 모빌리티사업 확장을 위해 분사한 모빌리티 전문 자회사다. 2017년 물적 분할 이후 빠르게 성장했다. 최근 기존 투자자 지분을 일부 매각하는 과정에서 기업가치 8조5000억원을 인정받았다. 카카오모빌리티 1대 주주는 지분 57.5%를 보유한 카카오다. 미국계 사모펀드인 TPG와 칼라일이 각각 29.0%, 6.2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기업공개(IPO)를 준비하 던 카카오의 핵심 자회사였지만 골목상권 침해 등의 논란이 일면서 비난 여론에 휩싸였다. 지난해 호출비 인상으로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가 국정감사 증인으로 거푸 소환되기도 했다.
MBK파트너스는 TPG·칼라일 등 재무적 투자자(FI)의 지분과 카카오 일부 지분을 동시에 사들여 단일 최대 주주에 오르기 위해 협상을 벌여왔다. 하지만 지난 6월 이 같은 내용이 언론 보도로 알려지면서 내부 반발이 일기 시작했다. 카카오는 “지분을 다 파는 게 아니라 10%대만 팔아서 (카카오가) 2대 주주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카카오모빌리티 직원은 물론 카카오 노조까지 매각 반대를 외치고 나섰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지난달 25일 카카오에 매각 추진 유보를 요구했다. 이어 이달 1일부터 직원 대표와 경영진이 참여한 ‘모빌리티와 사회의 지속 성장을 위한 협의체’에서 ‘모빌리티와 사회의 지속 성장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 지난 16일 카카오 CAC에 제출했다.
지분 매각이 중단되면서 2개월가량 이어진 갈등은 일단락됐지만 남은 과제가 적지 않다. 카카오는 TPG 등 FI의 투자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IPO 혹은 매각 등을 통해 투자금 회수를 보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분 매각이 당분간 어려워진 만큼 IPO 추진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 이 과정에서 투자자를 만족시키는 수준으로 적정 기업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지 확실치 않다. 매각 과정에서 불거진 조직 내 갈등을 봉합하는 것도 까다로운 숙제다.
코로나19 엔데믹 상황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최근 정부가 탄력요금제, 호출료 도입 등 규제 완화 움직임을 보인 것은 이 회사의 몸값을 높일 요소다. 홍은택 카카오 CAC 공동 센터장은 “사회가 공감할 지속 가능한 혁신에 기반해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우/차준호 기자 leeswoo@hankyung.com
두 달 만에 무산된 지분 매각
카카오 계열사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카카오 공동체얼라인먼트센터(CAC)는 18일 “카카오모빌리티 주주 구성의 변경 검토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최근 협상 상대방인 MBK파트너스에도 이 같은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는 “카카오모빌리티 노사가 도출한 사회와의 지속 성장 의지를 존중하고, 이를 구체화해 실행해 나가는 것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카카오모빌리티는 2015년 택시 호출 서비스 카카오택시를 시작으로 대리운전, 주차 등 모빌리티사업 확장을 위해 분사한 모빌리티 전문 자회사다. 2017년 물적 분할 이후 빠르게 성장했다. 최근 기존 투자자 지분을 일부 매각하는 과정에서 기업가치 8조5000억원을 인정받았다. 카카오모빌리티 1대 주주는 지분 57.5%를 보유한 카카오다. 미국계 사모펀드인 TPG와 칼라일이 각각 29.0%, 6.2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기업공개(IPO)를 준비하 던 카카오의 핵심 자회사였지만 골목상권 침해 등의 논란이 일면서 비난 여론에 휩싸였다. 지난해 호출비 인상으로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가 국정감사 증인으로 거푸 소환되기도 했다.
MBK파트너스는 TPG·칼라일 등 재무적 투자자(FI)의 지분과 카카오 일부 지분을 동시에 사들여 단일 최대 주주에 오르기 위해 협상을 벌여왔다. 하지만 지난 6월 이 같은 내용이 언론 보도로 알려지면서 내부 반발이 일기 시작했다. 카카오는 “지분을 다 파는 게 아니라 10%대만 팔아서 (카카오가) 2대 주주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카카오모빌리티 직원은 물론 카카오 노조까지 매각 반대를 외치고 나섰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지난달 25일 카카오에 매각 추진 유보를 요구했다. 이어 이달 1일부터 직원 대표와 경영진이 참여한 ‘모빌리티와 사회의 지속 성장을 위한 협의체’에서 ‘모빌리티와 사회의 지속 성장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 지난 16일 카카오 CAC에 제출했다.
IPO 추진 등 과제 산적
카카오모빌리티가 내놓은 상생안의 핵심은 ‘혁신과 성장, 동반과 공유’다. 국민이 겪는 이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을 주도하고, 모빌리티 파트너 및 이동 약자들과 동반 성장하며, 기술과 데이터를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이용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장 위주로 진출하고, 기존 산업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도록 생태계 구축형 플랫폼의 철학과 지향점을 뚜렷하게 한다는 사업 진출 원칙도 상생안에 포함했다.지분 매각이 중단되면서 2개월가량 이어진 갈등은 일단락됐지만 남은 과제가 적지 않다. 카카오는 TPG 등 FI의 투자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IPO 혹은 매각 등을 통해 투자금 회수를 보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분 매각이 당분간 어려워진 만큼 IPO 추진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 이 과정에서 투자자를 만족시키는 수준으로 적정 기업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지 확실치 않다. 매각 과정에서 불거진 조직 내 갈등을 봉합하는 것도 까다로운 숙제다.
코로나19 엔데믹 상황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최근 정부가 탄력요금제, 호출료 도입 등 규제 완화 움직임을 보인 것은 이 회사의 몸값을 높일 요소다. 홍은택 카카오 CAC 공동 센터장은 “사회가 공감할 지속 가능한 혁신에 기반해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우/차준호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