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반도체, 중국 수출 비중 20년 새 13배 늘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상공회의소 분석 결과
반도체 수출비중 3.2%→39.7%로
정밀기기·디스플레이 등
고부가가치 업종 중심 변화
반도체 수출비중 3.2%→39.7%로
정밀기기·디스플레이 등
고부가가치 업종 중심 변화
반도체의 대중(對中) 수출 비중이 지난 20년 새 1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 수출의존도가 크게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1일 발표한 ‘산업별 대중 수출의존도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대중 수출 비중이 큰 산업은 정밀기기(42.5%), 정밀화학(40.9%), 반도체(39.7%), 유리(39.3%), 석유화학(38.9%) 순으로 집계됐다. 산업별 전 세계 수출량 대비 중국 수출량 비중을 분석한 결과다.
최근 20여년간 대중 수출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은 반도체로 집계됐다. 반도체 산업의 대중 수출 비중은 2000년 3.2%에서 지난해 39.7%로 36.5%포인트(약 13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중 수출 비중 증가 폭이 큰 2~5위 업종은 △정밀기기(7.5%→42.5%) △디스플레이(2.0%→35.2%) △세라믹(5.6%→32.3%) △통신기기(1.5%→27.9%)로 나타났다.
2000년 대중 수출 비중이 높은 업종은 목재(42.3%), 가죽·신발(38.8%), 석유화학(33.4%), 기타 전자부품(27.2%) 순이었다. 보고서는 “소비재의 대중 수출의존도는 상대적으로 줄어든 반면, 기술집약 산업의 대중 수출이 많이 늘어난 양상”이라며 “한·중 양국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결과”라고 했다.
다만 국내 고부가가치 산업의 대중 의존도 증가는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좁혀졌을 때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고도 분석했다.
한국의 대중 수출 규모는 지난해 1629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25.3%를 차지했다. 전체 수출의 10.7% 수준이던 2000년(185억 달러)에 비해 9배 가까이 증가했다. 대중 수입 규모도 2000년 128억달러(8.0%)에서, 2021년에는 1386억달러(22.5%)로 10배 이상 커졌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대한상공회의소가 21일 발표한 ‘산업별 대중 수출의존도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대중 수출 비중이 큰 산업은 정밀기기(42.5%), 정밀화학(40.9%), 반도체(39.7%), 유리(39.3%), 석유화학(38.9%) 순으로 집계됐다. 산업별 전 세계 수출량 대비 중국 수출량 비중을 분석한 결과다.
최근 20여년간 대중 수출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은 반도체로 집계됐다. 반도체 산업의 대중 수출 비중은 2000년 3.2%에서 지난해 39.7%로 36.5%포인트(약 13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중 수출 비중 증가 폭이 큰 2~5위 업종은 △정밀기기(7.5%→42.5%) △디스플레이(2.0%→35.2%) △세라믹(5.6%→32.3%) △통신기기(1.5%→27.9%)로 나타났다.
2000년 대중 수출 비중이 높은 업종은 목재(42.3%), 가죽·신발(38.8%), 석유화학(33.4%), 기타 전자부품(27.2%) 순이었다. 보고서는 “소비재의 대중 수출의존도는 상대적으로 줄어든 반면, 기술집약 산업의 대중 수출이 많이 늘어난 양상”이라며 “한·중 양국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결과”라고 했다.
다만 국내 고부가가치 산업의 대중 의존도 증가는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좁혀졌을 때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고도 분석했다.
한국의 대중 수출 규모는 지난해 1629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25.3%를 차지했다. 전체 수출의 10.7% 수준이던 2000년(185억 달러)에 비해 9배 가까이 증가했다. 대중 수입 규모도 2000년 128억달러(8.0%)에서, 2021년에는 1386억달러(22.5%)로 10배 이상 커졌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