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 투자 '뮤직카우' 사업에 청신호…금융위, 혁신금융 인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뮤직카우, 금융위 본회의 통과…사실상 혁신금융 승인
"발행·유통시장 리스크 모두 해소"
최장 5년 6개월 유예 받을 예정
"발행·유통시장 리스크 모두 해소"
최장 5년 6개월 유예 받을 예정

혁신금융 서비스는 기존 서비스와 견줄 때 차별성과 시장성을 갖췄다고 금융위가 인정한 업무다. '핀테크 특별법'으로도 불리는 금융혁신지원특별법에 근거해 2019년 4월부터 운영되고 있다. 혁신금융 서비스로 지정되면 현행 금융규제 적용을 최장 5년 6개월까지 유예받을 수 있다.
회의를 통해 금융위는 뮤직카우에 대해 증권거래 중개를 위한 투자중개업과 거래소 인·허가를 받지 않고도 서비스를 전개할 수 있도록 특례를 준 것으로 알려졌다. 자본시장법 제373조에 명시된 '누구든지 이 법에 따른 거래소 허가를 받지 않고는 금융투자상품 시장을 개설하거나 운영해선 안 된다'는 대목의 예외를 인정한 것이다.
당국 실무단의 사전 수요조사 단계를 통과한 기업들의 서비스는 금융위 혁신금융심사 소위원회와 혁신금융심사위원회에 안건으로 오르게 되고 이는 정례회의에서 최종 의결된다. 따라서 뮤직카우에게 남은 절차는 내달 7일 열릴 정례회의뿐이다. 다만 결과는 사실상 확정적이다. 혁신금융심사위원회에는 금융위원장과 금융감독원 부원장 등이 참석하기 때문에 통과될 것이 확실한 안건만 상정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의 결정으로 뮤직카우는 자본시장법 규제 대상이 됐다. 하지만 당국은 즉시 제재조치를 취하는 대신 투자자 보호 장치 마련과 사업구조 개편을 조건으로 6개월의 유예기한을 부여했다. 이번이 투자계약 증권의 첫 적용사례다. 위법 인식이 높지 않은 데다 5년간 영업 기간 동안 유입된 투자자들의 사업 지속에 대한 기대감을 고려한 것이다. 뮤직카우가 금융위에 혁신금융서비스를 신청한 것도 관련 장치를 마련하는 차원에서다.
뮤직카우는 작년 3월 혁신금융 서비스 수요조사를 신청했지만 1년 넘게 답보 상태였다. 다만 올 4월 금융위가 뮤직카우 상품을 증권으로 인정하면서 관련 절차에도 속도가 붙었다.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뮤직카우는 이달 들어 금융위의 요청을 받아 혁신금융서비스를 위한 정식 신청서를 제출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