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정책, 당분간 물가 중심으로"…기준금리 '연말 3%' 유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8년 만에 기준금리 2.5%
1년간 기준금리 2%P 올렸지만
경기침체보다 물가잡기에 무게
한은 "지금은 빅스텝 고려 안해"
내달 한미 금리 역전도 부담
올해 남은 두 번의 금통위서
0.25%P씩 연속으로 올릴 듯
1년간 기준금리 2%P 올렸지만
경기침체보다 물가잡기에 무게
한은 "지금은 빅스텝 고려 안해"
내달 한미 금리 역전도 부담
올해 남은 두 번의 금통위서
0.25%P씩 연속으로 올릴 듯
한국은행이 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네 차례 연속 올린 것은 물가 오름세가 꺾이지 않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25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직후 “당분간 물가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며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놨다. 하지만 빅스텝(한 번에 0.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에 대해선 “지금 상황에선 고려하지 않는다”고 해 금리를 올리더라도 당분간 0.25%포인트씩 올리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시장에선 한은이 올해 남은 두 차례 금통위 회의(10, 11월)에서 기준금리를 모두 올릴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가 올 연말엔 연 3.0%까지 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다만 지난달 빅스텝을 밟았을 때와 달리 한은이 ‘0.25%포인트씩 인상’에 무게를 두면서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드러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음달 미국이 또다시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도 이번 금리 인상의 한 요인이 됐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과 미국(상단 기준)의 기준금리는 연 2.5%로 같아졌다. 지난달 28일 미국 중앙은행(Fed)의 자이언트스텝에 따라 한·미 간 금리가 0.25%포인트 차이로 역전된 뒤 한 달 만이다. 하지만 Fed가 다음달 시장의 예상대로 세 번 연속 자이언트스텝을 밟으면 한·미 간 금리는 0.75%포인트 차로 더 벌어진다.
이 총재는 “환율이 오르는 국면에서 왜 우려하는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며 “환율을 우려하는 것은 환율 수준 자체가 아니라 환율이 오르면서 물가 상승 압력과 수입 기업의 고충이 심해지기 때문”이라고 했다. 환율 상승은 달러 초강세라는 대외적인 요인 때문이지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 문제가 아니라는 얘기다.
이 과정에서 유럽과 중국 경기 둔화가 가시화될 경우 향후 금리 인상에 부담이 될 전망이다. 금통위 결정문에도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이전보다 더 두드러졌다. 지난달 금통위는 “세계 경제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성장세가 약화했다”고 평가했지만, 이번 회의에서는 “(세계 경제의) 경기 하방 위험이 증대됐다”고 강조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고공행진 물가에 금리 연속 인상
지난달 한은이 빅스텝이라는 ‘극약처방’을 내렸지만,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6.3% 뛰며 두 달 연속 6%대를 기록했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7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달보다 0.3% 오른 120.47(2015년 수준 100)로 집계됐다. 상승세는 둔화했지만, 올해 1월 이후 7개월 연속 올랐다. 1년 전과 비교하면 9.2% 상승했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율은 3%대 후반, 기대인플레이션율은 4%대의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며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 유가 하락 영향으로 낮아질 수 있겠지만 근원물가 오름세가 이어지면서 상당 기간 5~6%대의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다음달 미국이 또다시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도 이번 금리 인상의 한 요인이 됐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과 미국(상단 기준)의 기준금리는 연 2.5%로 같아졌다. 지난달 28일 미국 중앙은행(Fed)의 자이언트스텝에 따라 한·미 간 금리가 0.25%포인트 차이로 역전된 뒤 한 달 만이다. 하지만 Fed가 다음달 시장의 예상대로 세 번 연속 자이언트스텝을 밟으면 한·미 간 금리는 0.75%포인트 차로 더 벌어진다.
○“자본 유출입 면밀히 점검”
이 총재는 최근 원·달러 환율이 급상승한 게 이번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미국의 금리 변화에 대한 기대가 달라지면서 단기적으로 세계 주요국 통화의 변동성이 커졌다”며 “이런 추세가 어떻게 될지 판단하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지난달과 달리 이날 금통위 결정문에 통화정책 운용 방향과 관련해 물가, 성장 등과 함께 ‘자본 유출입을 비롯한 금융안정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겠다는 문구가 포함된 이유로 분석된다.이 총재는 “환율이 오르는 국면에서 왜 우려하는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며 “환율을 우려하는 것은 환율 수준 자체가 아니라 환율이 오르면서 물가 상승 압력과 수입 기업의 고충이 심해지기 때문”이라고 했다. 환율 상승은 달러 초강세라는 대외적인 요인 때문이지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 문제가 아니라는 얘기다.
○경기 둔화 우려도 내비친 금통위
이 총재는 향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기조에는 변함이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올해 남은 10월과 1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연속 인상 가능성에 힘이 실린다. 금통위가 두 차례 모두 인상하면 기준금리는 연 3%가 된다.이 과정에서 유럽과 중국 경기 둔화가 가시화될 경우 향후 금리 인상에 부담이 될 전망이다. 금통위 결정문에도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이전보다 더 두드러졌다. 지난달 금통위는 “세계 경제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성장세가 약화했다”고 평가했지만, 이번 회의에서는 “(세계 경제의) 경기 하방 위험이 증대됐다”고 강조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