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부사관 128명 등 육군 부사관 652명 임관…일본·중국 국적 포기자도
대위·중위전역·경찰대 출신·부사관 복무 부모형제 뒤 이은 임관자 눈길
신임 특전부사관 1등은 여군 박미래…사격왕에 체력도 특급(종합)
육군은 26일 전북 익산 육군부사관학교와 경기 광주 육군특수전학교에서 부사관 임관식이 개최됐다고 밝혔다.

이날 육군 부사관 22-3기 524명과 육군 특수전부사관 53기 3차 128명 등 총 652명이 임관했으며 이 가운데 여군은 192명이다.

특수전부사관들은 일반 부사관과 달리 육군특수전사령부의 별도 모집 절차를 거쳐 선발됐으며 특전사에서 근무한다.

신임 특수전부사관 중 여군 박미래 하사는 최고 성적을 거둬 육군참모총장상을 받았다.

박 하사는 체력 측정에서 팔굽혀펴기 75개 이상, 윗몸일으키기 86개 이상, 3㎞ 달리기 12분 30초 이하 등 남군 기준 '특급'을 달성했고 교육생 사격대회에서 사격왕을 차지했다.

박 하사는 "'안 되면 되게 하라'는 특전부대 신조를 마음에 품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압도적인 능력과 태세를 갖춘 특전부사관이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육군부사관학교를 거쳐 임관한 부사관 중에서는 황윤석·임시환·박제모 하사와 윤지구 중사가 육군참모총장상을 받았다.

윤 중사는 대위 전역 후 부사관으로 재입대함으로써 바로 중사로 임관했다.

황 하사는 중위 전역 후 부사관으로 임관해 2번째 군번을 받았으며, 6·25전쟁 참전 유공으로 화랑무공훈장을 받은 조부의 후손이기도 하다.

그는 "부사관으로 전역하신 할아버지의 뒤를 이을 수 있어서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신임 특전부사관 1등은 여군 박미래…사격왕에 체력도 특급(종합)
이중국적을 포기하고 부사관이 된 임관자도 있다.

모친이 일본인인 송주호 하사는 부사관 임관을 위해 일본 국적을 포기했다.

6·25 참전용사 조부와 육군 중사 출신 부친의 뒤를 잇는 송 하사는 "육군 부사관이 되기 위해 한 치의 망설임 없이 스무 살이 되자마자 대사관을 찾아 이중국적을 포기했다"고 밝혔다.

특전부사관 김영민 하사 역시 중국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밑에서 15년 넘는 중국 생활을 하다가 중국 대신 한국 국적을 택하고 국군이 됐다.

서시현 하사는 경찰대를 나온 덕분에 더 짧은 기간으로 병역 의무를 이행할 수 있는 데도 특전부사관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다.

그는 2018년 경찰대 입학생으로 병역 전환복무 가능 대상에 해당해 경찰 기동대 소대장으로 2년 복무하면 되지만, 휴직 후 의무복무 4년인 특전부사관이 됐다.

서 하사는 특수전학교 전체 차석을 차지해 특전사령관상인 '명예상'을 받기도 했으며, 의무복무 후 경찰로 돌아가면 경위 계급으로 복직하게 된다.

그는 "경찰대 졸업 후 전환복무가 가능한 상태에서 군에 입대한 사례가 없어서 다소 어려움이 있었지만, 무사히 임관한 만큼 팀원들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특전부사관이 되겠다"고 말했다.

신임 특전부사관 1등은 여군 박미래…사격왕에 체력도 특급(종합)
김건우 하사는 6·25전쟁에 참전해 화랑무공훈장을 받은 고(故) 김기석 육군 상사의 손자다.

양동주 하사 또한 베트남전쟁 유공으로 미국 정부 은성무공훈장을 수훈한 예비역 육군 원사 이태수 씨의 손자다.

특전부사관 이준모 하사는 역시 특전부사관인 부친과 102기갑여단 부사관 모친의 뒤를 이어 임관, 가족 모두가 현역 육군 부사관이 됐다.

특전부사관 박성용 하사는 6·25전쟁에 학도병으로 참전한 조부, 특전부사관 전역 부친과 형, 현역 특전부사관 동생과 나란히 '특전 부사관 가족'을 구성했다.

세 자매가 육군 부사관이 된 경우도 있다.

이성아 하사는 육군 12사단의 큰 언니, 11기동사단의 둘째 언니와 같은 길을 간다.

이날 행사에는 2015년 비무장지대(DMZ)에서 북한 목함지뢰 도발로 다친 하재헌 예비역 중사와 김정원 중사가 참석해 후배들을 응원했다.

김 중사는 축사에서 "잘 훈련된 군인만이 실전에서 자신과 전우의 생명을 지킬 수 있다"며 "끊임없이 훈련하고 전우들과 단결한 가운데 어떠한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말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