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글로벌 주식과 채권 가격의 큰 하락으로 변액보험 가입자의 걱정 또한 커지고 있다. 하지만 주식 투자 시 손해를 봐도 향후 기업에 대한 믿음만 있다면 기다릴 수 있듯이, 변액보험도 지금의 환급률만으로 판단하기보다 여러 상황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먼저 상품의 보장 및 보증 기능을 살펴봐야 한다. 종신보험은 사망 보장 금액이 펀드 수익률과 상관없이 보장된다. 특약에 가입했다면 실손, 암과 같은 질병에 대해 보장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자신이 받을 수 있는 보장의 필요 유무와 가치를 함께 감안할 필요가 있다. 연금 상품이라면 최저연금적립금을 따져봐야 한다. 즉 이미 납입한 보험료를 보증해주는 기능이 있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연금 개시가 가까운데 환급금이 납입 보험료보다 작다면 계약을 무작정 해지하기보다 연금 개시 때까지 기다려서 기납입보험료를 기준으로 연금을 받는 게 더 유리할 수 있다.

펀드 변경을 고려해볼 수도 있다. 대부분의 보험사는 추가 비용이나 수수료 없이 펀드 변경을 허용하고 있다. 현재 펀드가 채권인지 주식인지, 투자대상이 국내인지 해외인지 등을 살펴보고 전망이 좋은 펀드로 바꾸는 게 좋다. 시장 예측이 어렵다면 일부 보험사에서 제공 중인 ‘추천 펀드 포트폴리오’를 참고하거나 시장 상황에 맞춰 투자 대상과 비중을 조절해주는 ‘자산배분형 펀드’를 선택하는 방법도 있다.

변액보험은 장기 투자가 유리
변액보험은 장기 투자에 유리한 상품이며, 주식 및 채권 또한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해왔다. 비록 단기적으로는 하락하더라도 장기적 관점으로 시장을 대할 필요도 있다.

박병규 삼성생명 변액운용사업부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