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억대 연봉을 받는 금융사 임직원들의 지난 6년간 횡령액이 1700여억원에 이른 것으로 파악됐다.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무소속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78개 금융기관에서 총 327회, 1704억원의 횡령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권 횡령 사고로 인한 피해액은 2017년 144억원에서 2018년 112억원으로 소폭 줄었으나 2019년 131억원, 2020년 177억원, 2021년 261억원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8월 기준 금융권 횡령 사고 피해액은 87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7년 대비 6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횡령 규모가 가장 큰 금융권은 은행으로 나타났다. 은행 894억원, 상호금융 256억원, 자산운용 167억원, 저축은행 149억원 순이었다.

금융사별 임직원 횡령 규모는 우리은행이 716억원으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 단위농협 153억원, 하나은행 69억원, 수협 68억원, 신협 61억원, NH농협은행 29억원, IBK기업은행 27억원, KB손해보험 12억원, 삼성생명 8억원, 신한은행 7억원 순이었다.

한편 지난 6년간 3회 이상 횡령 사고가 발생한 은행, 보험, 상호금융 11개사의 등기 임원들은 같은 기간 642억원의 연봉과 성과급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2017년에는 금융사에 68회에 걸쳐 144억원의 횡령 사고가 발생했으나 해당 은행, 보험, 상호금융사 등기 임원은 연봉과 상여금으로 총 91억원을 받았다. 261억원의 횡령 피해가 발생한 지난해에도 등기 임원은 168억원을 챙긴 것으로 집계됐다.

양 의원은 "횡령 사건으로 발생한 피해는 금융사 내부 문제를 넘어 국민의 믿음을 횡령한 것으로 금융사가 최우선으로 지켜야 할 신뢰를 잃어버린 것이다. 동일한 금융사에서 횡령 사고가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재발 방지 대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못했다는 방증"이라며 "횡령 사고의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경영진과 임원들이 사고 발생 당해연도까지 고액 연봉과 상여금을 챙긴 것은 금융계의 고질적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