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상호금융·여전사, 대손충당금 적립률 상향 추진
여전사도 건설업·부동산업 여신 한도 규제 방침
은행권 대손충당금 적립 점검…특별대손준비금 적립요구권 신설
금융위 부위원장 "2금융권 고위험 다중채무자 충당금 더 쌓아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31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잠재적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2금융권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을 상향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금융위·금융감독원·예금보험공사 등이 합동으로 개최한 제4차 금융리스크 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저축은행, 상호금융, 여신전문금융사 등 2금융권의 대손충당금 적립률 상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자산규모가 급격히 증가한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 대해 충분한 자본 확충을 유도하고 리스크 관리를 한층 강화하겠다"며 이런 방안을 제시했다.

금융위는 구체적으로 2금융권의 다중채무자 중 고위험 다중채무자에 대한 충당금 기준을 상향할 계획이다.

아울러 저축은행, 상호금융에 대해 적용 중인 건설업·부동산업에 대한 여신 한도 규제를 여전사에도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김 부위원장은 최근 대내외 경제 여건에 대해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의 고강도 긴축 우려, 유럽 경기침체 및 중국의 경기둔화 가능성 등이 부각되며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러한 배경에서 차주의 이자 상환 부담 확대, 부동산 등 주요 자산의 가격 하락 리스크 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은행권에 대해서는 대손충당금 적립 수준을 점검할 뿐만 아니라, '특별대손준비금 적립요구권' 신설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향후 예상되는 손실에 비해 대손충당금·준비금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금융당국이 은행에 대손준비금 추가 적립을 요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는 취지다.

그는 최근 1,350원대까지 고점을 높인 원/달러 환율 수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부위원장은 "환율 변동성 확대는 당장은 금융회사가 자체적으로 대응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되나, 추가적인 변동리스크에 대비해 선제적 외화유동성 확충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금융리스크 대응 TF 회의에서 금융위 등 유관기관은 금융 부문 위기 대응 매뉴얼을 재점검하고, 유사시 실행할 시장안정조치의 세부 실행 계획도 마련했다.

금융위는 내달 말 열린 차기 회의에서는 디지털 금융 서비스와 관련한 부문별 잠재적 위험요인을 점검하고 필요한 관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 부위원장은 "최근의 금융리스크는 기존 감독시스템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새로운 채널로 발현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모니터링 초점을 다변화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 부위원장 "2금융권 고위험 다중채무자 충당금 더 쌓아라"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