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글로벌 자산 중 미국 달러 가치가 천연가스 다음으로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달러 강세로 미국인들의 구매력은 커졌지만 다른 나라는 악영향을 받는다. 이 때문에 자칫 강달러가 미국에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현지시간) 급격한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강달러로 인해 미국인의 실질 구매력이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지난 7월 국제결제은행(BIS)이 집계한 달러의 실질실효환율은 129.72로 종전 최고 기록인 2002년의 124.43을 경신했다. 실질실효환율이란 세계 60개국 물가와 교역 비중을 고려해 각국 통화의 실질적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다. 수치가 100보다 높으면 기준연도(2010년 100 기준)보다 해당 화폐 가치가 고평가돼 실질 구매력이 더 커졌다는 의미다.

WSJ 달러지수도 올 들어 13% 가까이 상승했다. 달러 강세로 2002년 이후 20년 만에 달러와 유로의 가치가 같아지는 ‘패리티’(1유로=1달러) 시대도 열렸다. 영국 파운드화 대비 달러 가치는 1985년 이후 가장 높아졌다. 도이체방크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자산 중 달러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낸 것은 천연가스가 유일하다.

이런 ‘킹달러’ 현상으로 미국의 수입품 가격이 낮아져 미국인들의 구매력은 커졌다. 반면 다른 나라의 소비자들은 미국산 제품을 사려면 이전보다 더 많은 돈을 지불해야 한다. 스티브 잉글랜더 스탠다드차타드 글로벌 부문장은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은 긴축 피해 외에도 강달러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분석했다.

급격한 달러 가치 상승으로 인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모하메드 엘에리언 전 핌코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뉴스 칼럼을 통해 “달러 가치 상승이 더 길어지고 급격해지면 개발도상국들의 채무 리스크가 커지고 경제가 취약한 국가의 정치적 혼란과 지정학적 갈등이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 모든 일이 미국산 수출품에 대한 수요 약화, 공급망 불확실성 가중, 재정 손실 등을 일으켜 미국 경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