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 자금 몰리는 채권 ETF…"분산·분할매수 원칙 지켜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문가들 '중장기 투자' 조언
다양한 종류의 채권형 상장지수펀드(ETF)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투자자들의 자금이 채권 ETF 시장에 쏠리면서 자산운용사들이 소비자 요구를 반영한 상품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채권형 ETF 역시 ‘유행’을 좇는 단기 투자보다는 중장기적으로 ‘분산·분할 매수’ 투자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조언한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기관 중심이었던 채권 ETF 시장에 개인들의 자금이 대폭 유입되고 있다. 지난달 개인들은 채권형 ETF를 45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올해 월별 개인 매수액 기준 최대치다. 올 1월(56억원)과 비교해 8배가량 늘어났다.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자 자산운용사들도 잇따라 채권형 ETF를 내놓고 있다. 신한자산운용은 최근 ‘SOL 국고채3년’, ‘SOL 국고채10년’ 등 두 종류의 국고채 ETF를 상장했다. 지난달엔 ‘SOL 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ETF를 출시했다. 이 상품은 한 달 만에 순자산 2100억원을 돌파했다.
삼성자산운용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요소를 가미한 ‘KODEX ESG종합채권액티브’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회사채를 담은 ‘TIGER 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를 선보였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단기채 위주의 ‘KINDEX 단기채권알파액티브’를 출시했다. KB자산운용도 기존에 없던 만기가 있는 채권형 ETF를 다음달 내놓을 예정이다.
시장에선 채권 가격이 많이 떨어진 만큼 투자해볼 만하다는 반응이 감지되고 있다.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와 채권시장 금리가 더 이상 오르기 힘들 것이라고 예측하는 투자자가 많아지고 있다는 의미다. 금리가 꺾이면 채권 가격은 오른다.
다만 전문가들은 같은 채권형 ETF라도 어떤 종류의 채권이 속해 있는지 꼼꼼히 살펴보고,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박승진 하나증권 연구원은 “장기 국채 등은 물가 안정에, 회사채는 경기 회복 신호에 반응한다”고 말했다.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시점별로 분할 매수하는 전략도 필요하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본부장은 “중장기적으로 채권 금리가 상승할 때마다 저가 분할 매수한 뒤 금리 하락기에 수익을 실현하는 쪽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기관 중심이었던 채권 ETF 시장에 개인들의 자금이 대폭 유입되고 있다. 지난달 개인들은 채권형 ETF를 45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올해 월별 개인 매수액 기준 최대치다. 올 1월(56억원)과 비교해 8배가량 늘어났다.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자 자산운용사들도 잇따라 채권형 ETF를 내놓고 있다. 신한자산운용은 최근 ‘SOL 국고채3년’, ‘SOL 국고채10년’ 등 두 종류의 국고채 ETF를 상장했다. 지난달엔 ‘SOL 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ETF를 출시했다. 이 상품은 한 달 만에 순자산 2100억원을 돌파했다.
삼성자산운용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요소를 가미한 ‘KODEX ESG종합채권액티브’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회사채를 담은 ‘TIGER 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를 선보였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단기채 위주의 ‘KINDEX 단기채권알파액티브’를 출시했다. KB자산운용도 기존에 없던 만기가 있는 채권형 ETF를 다음달 내놓을 예정이다.
시장에선 채권 가격이 많이 떨어진 만큼 투자해볼 만하다는 반응이 감지되고 있다.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와 채권시장 금리가 더 이상 오르기 힘들 것이라고 예측하는 투자자가 많아지고 있다는 의미다. 금리가 꺾이면 채권 가격은 오른다.
다만 전문가들은 같은 채권형 ETF라도 어떤 종류의 채권이 속해 있는지 꼼꼼히 살펴보고,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박승진 하나증권 연구원은 “장기 국채 등은 물가 안정에, 회사채는 경기 회복 신호에 반응한다”고 말했다.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시점별로 분할 매수하는 전략도 필요하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본부장은 “중장기적으로 채권 금리가 상승할 때마다 저가 분할 매수한 뒤 금리 하락기에 수익을 실현하는 쪽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