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지고 '이것' 뜬다"…커피시장 지각변동 조짐 [신현보의 딥데이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커피 앱 시장으로 보는 커피 트렌드
고물가에 고가 카페 지고 저가 카페 떠
스벅·커피빈, 전연령대서 앱 사용자수↓
메가·컴포즈·메머드 사용 40~70% 급증
플렉스·이자 부담 증가…"짠테크가 대세"
고물가에 고가 카페 지고 저가 카페 떠
스벅·커피빈, 전연령대서 앱 사용자수↓
메가·컴포즈·메머드 사용 40~70% 급증
플렉스·이자 부담 증가…"짠테크가 대세"
최근 고물가에 커피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스타벅스와 커피빈 등 고가 커피전문점 이용자 수는 줄고 메가커피 등 저가형 커피전문점 이용자 수는 늘어나고 있다. 인플레이션으로 식대 지출이 늘어난 학생과 직장인 등이 저가형 커피를 선호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스타벅스는 지난 7월 굿즈 '서머 캐리백'에서 발암물질이 나오면서 '리콜 사태'가 빚어지면서 이용자 낙폭이 매우 큰 것으로 파악되기는 하나, 전반적인 고가 커피전문점 이용자 수가 이 시기부터 점차 빠지기 시작했다. 이는 공교롭게도 6~7월 물가가 역대급으로 크게 상승한 시기와 겹치면서 소비자들 사이에서 고가 커피숍 이용 자제를 부추긴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중 메가커피와 컴포즈커피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특히 메가커피 앱 '메가MGC커피 멤버십'의 이용자 수는 연초 대비 40.5%나 늘었다. 늘어난 이용자만 약 20만 명에 달한다. 또한 컴포즈커피 앱 이용자 수 또한 연초 17만6000여명에서 최근 26만7000여명으로 51.8% 증가했다. 메머드커피의 '매머드 오더'는 4만 명을 밑돌던 이용자 수가 최근 6만 명 후반까지 올라 71.5% 상승했다.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메머드커피의 앱 이용자 수는 전 연령대에서 모두 증가세를 보인다.
고가 커피전문점의 앱 이용자 수가 정점을 찍고 하락세를 타기 시작한 6월과 7월은 소비자물가상승률이 6%대를 기록하면서 외환위기 후 최고치를 기록했을 때다. 특히 지난 8월 외식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8.8% 뛰면서 1992년 10월 이후 30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직장인 선 모(29) 씨는 "월급은 그대로인데 식사를 거를 수는 없고, 커피값을 아끼기 위해 저가형 커피를 선호하게 됐다"면서 "예전에는 잘 가지도 않던 회사 앞 아메리카노 2000원대 카페가 지금은 미어터지는 수준이다"고 말했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 이후 고급 소비재에 돈을 아끼지 않던 플렉스(Flex) 문화와 부동산 시장을 견인해온 MZ세대(밀레니얼+Z세대)로써는 늘어나는 소비와 이자 부담을 당해낼 수 없는 형국이 된 요인도 큰 것으로 파악된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그간 MZ세대를 해석하는 데 플렉스가 중요했다면 최근에는 '짠테크'(짠돌이+재테크)가 대세"라면서 "경기가 당장 좋아질 기미가 전혀 없기 때문에 이러한 기조는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고물가에 스벅·커피빈 '고급 카페' 사용 자제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가 집계하는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스타벅스의 앱 주간 활성 사용자 수(MAU, 안드로이드 및 iOS 사용자 합산·중복포함)는 올 초 대비 10.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스타벅스와 함께 대표적인 프리미엄 커피전문점으로 꼽히는 커피빈 또한 같은 기간 17.4% 이용자 수가 감소하고, 투썸플레이스의 '투썸하트'와 할리스는 연초 대비로는 상승했으나 각각 지난 6월과 7월 고점을 찍은 이후 이용자 수가 최근 각각 6%와 14%가량 빠졌다. 중저가로 구분되는 이디야의 '이디야멤버스' 또한 이용자 수가 연초 대비 20.9%나 감소했다. 스타벅스와 커피빈, 이디야의 경우 전 연령대에서 이용자 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스타벅스는 지난 7월 굿즈 '서머 캐리백'에서 발암물질이 나오면서 '리콜 사태'가 빚어지면서 이용자 낙폭이 매우 큰 것으로 파악되기는 하나, 전반적인 고가 커피전문점 이용자 수가 이 시기부터 점차 빠지기 시작했다. 이는 공교롭게도 6~7월 물가가 역대급으로 크게 상승한 시기와 겹치면서 소비자들 사이에서 고가 커피숍 이용 자제를 부추긴 영향으로 풀이된다.
저가 카페 이용 급증…"짠테크가 대세"
반면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등 저가형 커피전문점의 앱 사용자 수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밥상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학생과 직장인 등 소비자들이 저가형 커피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탓이다.특히 이중 메가커피와 컴포즈커피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특히 메가커피 앱 '메가MGC커피 멤버십'의 이용자 수는 연초 대비 40.5%나 늘었다. 늘어난 이용자만 약 20만 명에 달한다. 또한 컴포즈커피 앱 이용자 수 또한 연초 17만6000여명에서 최근 26만7000여명으로 51.8% 증가했다. 메머드커피의 '매머드 오더'는 4만 명을 밑돌던 이용자 수가 최근 6만 명 후반까지 올라 71.5% 상승했다.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메머드커피의 앱 이용자 수는 전 연령대에서 모두 증가세를 보인다.
고가 커피전문점의 앱 이용자 수가 정점을 찍고 하락세를 타기 시작한 6월과 7월은 소비자물가상승률이 6%대를 기록하면서 외환위기 후 최고치를 기록했을 때다. 특히 지난 8월 외식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8.8% 뛰면서 1992년 10월 이후 30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직장인 선 모(29) 씨는 "월급은 그대로인데 식사를 거를 수는 없고, 커피값을 아끼기 위해 저가형 커피를 선호하게 됐다"면서 "예전에는 잘 가지도 않던 회사 앞 아메리카노 2000원대 카페가 지금은 미어터지는 수준이다"고 말했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 이후 고급 소비재에 돈을 아끼지 않던 플렉스(Flex) 문화와 부동산 시장을 견인해온 MZ세대(밀레니얼+Z세대)로써는 늘어나는 소비와 이자 부담을 당해낼 수 없는 형국이 된 요인도 큰 것으로 파악된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그간 MZ세대를 해석하는 데 플렉스가 중요했다면 최근에는 '짠테크'(짠돌이+재테크)가 대세"라면서 "경기가 당장 좋아질 기미가 전혀 없기 때문에 이러한 기조는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