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이산가족해결' 당국회담 제의…"일회성 상봉으론 부족"(종합2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례적 당국 회담 제안…"회담일자·장소 등 北 희망 적극 고려" 호응 촉구
냉랭한 남북관계 분위기 속 北 호응 가능성은 적어…권영세 "계속 문 두드릴 것"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추석 연휴를 앞둔 8일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 당국 간 회담을 북한에 공식 제의했다.
권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통일부 장관 명의의 담화를 통해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남북 당국간 회담을 조속히 개최하자고 밝혔다.
그는 "이산가족이라는 단어 자체가 사라지기 전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면서 "과거와 같은 소수 인원의 일회성 상봉으로는 부족하다.
당장 가능한 모든 방법을 활용하여 신속하고도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통상 한 번에 100명 정도씩 만나는 방식으로 진행됐는데, 이산가족 대다수가 고령으로 시간이 촉박한 상황을 고려해 수시 상봉 등 보다 근본적인 해법을 찾자는 뜻으로 풀이된다.
권 장관은 이와 관련, "(상봉이) 일회성보다는 지속적으로 정례적으로 되기를 기대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는 "남과 북의 책임 있는 당국자들이 빠른 시일 내에 직접 만나서 이산가족 문제를 비롯한 인도적 사안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열린 마음으로 북한과의 회담에 임할 것"이라며 "회담 일자, 장소, 의제와 형식 등도 북한 측의 희망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 당국이 우리의 제안에 조속히 호응해 나올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리선권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을 수신인으로 하는 권 장관 명의의 대북 통지문 발송도 시도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당국 간 회담을 제안한 것을 처음으로, 통상 적십자 채널로 이뤄졌던 이산가족 관련 논의에 대해 당국 간 회담을 제안한 것도 이례적이다.
권 장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상황에서 이산가족 상봉이 시작되더라도 실제적인 상봉을 시행해 나가는 데 있어서도 여러 추가적인 조치들이 필요할 것"이라며 "현실적인 상황과 근본적인 상황을 다 포함을 해서 당국자 회담을 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호응할지는 미지수다.
시급한 인도적 사안이긴 하지만 최근 남북관계의 냉랭한 분위기를 고려하면 무시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권 장관은 북한의 호응이 없더라도 "계속해서 북에 대해 문을 두드리고 지속적으로 제안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과거 이산가족 상봉에 따라 쌀 지원 등이 대가로 제공된 데 대해선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다른 인도적 지원 요청이 있다면 군사적 상황과 관련 없이 언제든지 협력할 준비가 돼 있으므로 긍정적으로 고려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권 장관은 대북로드맵인 '담대한 구상'과 이산가족 문제 해결은 "병행되는 문제"라며 "두 개가 긍정적인 영향럭을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이산가족 생존자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현재 남한의 이산가족 생존자는 4만3천746명으로, 90세 이상 1만2천856명, 80대 1만6천179명, 70대 8천229명 등 대부분 고령자다.
그렇다 보니 올해 들어 8월까지 사망한 이산가족 신청자만 2천504명에 이른다.
이산가족 상봉은 2000년 8월 처음 시작돼 2018년 8월까지 총 21회 열렸다.
그러나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한반도 정세가 급랭하면서 4년 넘게 재개되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냉랭한 남북관계 분위기 속 北 호응 가능성은 적어…권영세 "계속 문 두드릴 것"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추석 연휴를 앞둔 8일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 당국 간 회담을 북한에 공식 제의했다.
권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통일부 장관 명의의 담화를 통해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남북 당국간 회담을 조속히 개최하자고 밝혔다.
그는 "이산가족이라는 단어 자체가 사라지기 전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면서 "과거와 같은 소수 인원의 일회성 상봉으로는 부족하다.
당장 가능한 모든 방법을 활용하여 신속하고도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통상 한 번에 100명 정도씩 만나는 방식으로 진행됐는데, 이산가족 대다수가 고령으로 시간이 촉박한 상황을 고려해 수시 상봉 등 보다 근본적인 해법을 찾자는 뜻으로 풀이된다.
권 장관은 이와 관련, "(상봉이) 일회성보다는 지속적으로 정례적으로 되기를 기대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는 "남과 북의 책임 있는 당국자들이 빠른 시일 내에 직접 만나서 이산가족 문제를 비롯한 인도적 사안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열린 마음으로 북한과의 회담에 임할 것"이라며 "회담 일자, 장소, 의제와 형식 등도 북한 측의 희망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 당국이 우리의 제안에 조속히 호응해 나올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리선권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을 수신인으로 하는 권 장관 명의의 대북 통지문 발송도 시도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당국 간 회담을 제안한 것을 처음으로, 통상 적십자 채널로 이뤄졌던 이산가족 관련 논의에 대해 당국 간 회담을 제안한 것도 이례적이다.
권 장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상황에서 이산가족 상봉이 시작되더라도 실제적인 상봉을 시행해 나가는 데 있어서도 여러 추가적인 조치들이 필요할 것"이라며 "현실적인 상황과 근본적인 상황을 다 포함을 해서 당국자 회담을 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호응할지는 미지수다.
시급한 인도적 사안이긴 하지만 최근 남북관계의 냉랭한 분위기를 고려하면 무시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권 장관은 북한의 호응이 없더라도 "계속해서 북에 대해 문을 두드리고 지속적으로 제안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과거 이산가족 상봉에 따라 쌀 지원 등이 대가로 제공된 데 대해선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다른 인도적 지원 요청이 있다면 군사적 상황과 관련 없이 언제든지 협력할 준비가 돼 있으므로 긍정적으로 고려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권 장관은 대북로드맵인 '담대한 구상'과 이산가족 문제 해결은 "병행되는 문제"라며 "두 개가 긍정적인 영향럭을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이산가족 생존자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현재 남한의 이산가족 생존자는 4만3천746명으로, 90세 이상 1만2천856명, 80대 1만6천179명, 70대 8천229명 등 대부분 고령자다.
그렇다 보니 올해 들어 8월까지 사망한 이산가족 신청자만 2천504명에 이른다.
이산가족 상봉은 2000년 8월 처음 시작돼 2018년 8월까지 총 21회 열렸다.
그러나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한반도 정세가 급랭하면서 4년 넘게 재개되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