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AP
사진=AP
스타벅스코리아가 생산하는 커피 퇴비가 누적 1000만 포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전국 매장에서 '아메리카노 톨 사이즈' 기준 무려 15억잔의 커피를 추출한 후 남은 커피 찌꺼기를 자원으로 재활용한 친환경 퇴비다.

스타벅스는 지난 13일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미듬영농조합을 방문해 200t 분량의 커피 퇴비 1만 포대를 기부했다고 14일 밝혔다.

커피 찌꺼기는 천연 비료의 역할을 한다.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질소, 인산, 칼륨 등이 풍부하고 중금속 성분이 없다. 병충해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스타벅스 파트너들이 지난 13일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미듬영농조합을 방문해 200톤 분량의 커피 퇴비 1만 포대를 기부했다.
스타벅스 파트너들이 지난 13일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미듬영농조합을 방문해 200톤 분량의 커피 퇴비 1만 포대를 기부했다.
스타벅스는 지난 2015년부터 경기도와 '농산물 소비 촉진 및 자원 재활용을 위한 협력'을 맺고 커피 찌꺼기로 만든 퇴비를 생산하고 있다. 스타벅스가 지원해 온 커피 퇴비의 누적 생산량은 9월 기준으로 975만 포대다. 올 연말까지 약 25만 포대 이상의 커피 퇴비가 추가로 생산될 예정이어서 커피 퇴비 누적 생산량은 연내 1000만 포대(약 20만t)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대경 미듬영농조합 대표는 "스타벅스가 지난 8년간 기부한 친환경 커피 퇴비는 평택 지역에서 유기농 농산물 재배에 활용되고 있다"며 "최근 2~3년간 비료 가격이 급상승하고 있어 농가의 비료 구입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친환경 커피 퇴비로 재배한 농산물을 원재료로 하는 식품도 스타벅스 매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라이스 칩', '우리 미 카스텔라' 등 26종의 제품은 커피 퇴비로 재배한 농산물을 활용해 만들어졌다.
"스타벅스, 비료회사였어?"…친환경 커피퇴비 1000만 포대 생산
스타벅스는 "올해부터 커피찌꺼기가 순환자원으로 인정된 만큼 재활용률을 점진적으로 높여갈 계획"이라며 "커피 찌꺼기를 재활용한 커피 퇴비로 재배한 농산물이 다시 제품의 원재료로 사용하는 자원 선순환 활동을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